백점자 지석묘

한자 白店子 支石墓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요령성 대련시 장하시 오로진 소방신촌 백가점둔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고조선
상세정보
성격 지석묘
양식 탁자식 지석묘
크기 435cm[길이]|400cm[너비]|50cm[두께](1호 상석)
문물|보호단위등급 중국 성급 문물 보호 단위
조성 시기/일시 고조선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60년
문화재 지정 일시 1979년
문화재 지정 일시 1980년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0년
소재지 요령성 대련시 장하시 오로진 소방신촌 백가점둔
정의

요령성(遼寧省) 대련시(大連市) 장하시(庄河市) 오로진(吳爐鎭) 소방신촌(小房身村) 백가점둔에 있는 청동기 시대[고조선 시대]의 고인돌.

개설

백점자 지석묘는 요령성 대련시 장하시 백가점둔석붕산(石棚山) 서남 사면 평탄 대지에 있는 지석묘군[2기]이다. 1960년 소규모 피트(pit) 조사를 통해 묘실 내부에서 화장된 인골 조각이, 동장벽석 바깥쪽에서 토기 조각과 석기 조각이 출토되었다. 요동 남부의 대표적인 지석묘 문화인 쌍방 유형(雙房類型) 장하(庄河)~영나하(英那河) 유역권의 지석묘를 연구하는 데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위치

백점자 지석묘는 요령성 대련시 장하시 오로진 소방신촌 백가점둔 북쪽 500m 석붕산 서남 사면 8부 능선의 평탄 대지에 위치하고 있다. 지석묘의 동쪽 5.8㎞에는 영나하 본류, 동남쪽 1.5㎞에는 단동시(丹東市)~대련시 간의 단대(丹大) 고속도로, 서남쪽 5.0㎞에는 장하 본류, 구릉 남쪽 자락에는 백가점둔과 석붕산 동남쪽 산곡에서 발원하여 그 남측을 흐르는 백점하(白店河)로 불리는 작은 내가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백점자 지석묘는 1960년 여대시 문물조(旅大市文物組)의 허명강(許明綱)에 의해 조사되었다. 이 일대 지석묘의 성격과 연대를 파악하기 위해 묘실 내부와 벽석 외부에 소규모 피트 작업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인골 조각과 토기 조각 등이 출토되었다.

형태

백점자 지석묘군에는 본래 2기의 탁자식 지석묘(卓子式支石墓)가 있었으나, 1960년 조사 당시 현존 1호[수석(嫂石)]의 동북쪽 20m 사면 평탄 대지의 북측에 위치하고 있던 2호[고석(姑石)]는 이미 파괴되어 잔적조차 남아 있지 않은 상태였다.

현존하는 1호는 장축 방향이며 상석은 불규칙 방형으로 남북 길이 4.35m, 너비 4.0m, 두께 0.5m이다. 묘실은 4매의 장방형 판석을‘ㅒ’자형으로 조립한 길이 2.4m, 너비 1.75m, 높이 1.5m[실내 기준]의 구조로 되어 있다. 묘실의 남단벽 동측은 묘실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기울어져 있고, 동장벽은 북측 일부가 깨어져 떨어져 나가 있다. 서장벽과 남·북 단벽이 접하는 내면에 각각 1개씩의 긴 홈이 파여져 있다.

출토 유물

1960년 조사 당시 바닥석과 서장벽 사이의 빈틈에 일종의 피트를 넣어 조사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인골 조각과 함께 돌 가락바퀴 1점이 출토되었다. 이외 동장벽 바깥쪽으로 0.5m 가량 피트를 넣었는데, 내부에서 흑갈색 토기 조각과 석기 조각이 출토되었다.

현황

백점자 1호 지석묘는 규모로 보아 대형급에 속한다. 1979년 시급 문물 보호 단위로 지정되었다가, 현재는 대형 탁자식 지석묘라는 점 등이 고려되어 성급 문물 보호 단위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현존 1호 지석묘의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의의와 평가

백점자 지석묘는 쌍방 유형 장하~영나하 유역권을 대표하는 지석묘로서 이 일대의 지석묘 문화를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백점자 지석묘의 입지·규모·치석·배치 형태 등을 통해, 장하~영나하 유역권에 지석묘가 확산된 시점이 비교적 이른 시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백점자 지석묘를 비롯한 요동 지역의 지석묘를 고조선의 유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 오강원, 『비파형 동검 문화와 요령 지역의 청동기 문화』(청계, 2006)
  • 金貞培, 「中國 東北 地域의 支石墓 硏究」(『국사관논총』85, 국사편찬위원회, 1999)
  • 오강원, 「靑銅器 文明 周邊 集團의 墓制와 君長 社會-요동과 길림 지역의 지석묘와 사회-」(『호서 고고학』26, 호서 고고 학회, 2012)
  • 오강원, 「중국 동북 지역 지석묘의 상석 채석과 운반」(『고고 광장』 10, 부산 고고학 연구회, 2012)
  • 오강원, 「遼東 南部 地域 支石墓의 무덤 배치 유형 분류와 조성 맥락」(『한국학 논총』 38, 국민 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2012)
  • 오강원, 「遼東 南部 地域 支石墓의 立地와 長軸 方向 設定 背景과 패턴」(『동아시아 문화 연구』51, 한양 대학교 동아시아 문화 연구소, 2012)
  • 許玉林·許明綱, 「遼東半島石棚綜述」(『遼寧大學學報』 1, 辽宁大学, 198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