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城子山 山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요원시 용산구 산만향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산성 |
|---|---|
| 양식 | 토성 |
| 크기 | 성벽의 길이 726m |
| 조성|건립 시기/일시 | 고구려 시기 |
| 현 소재지 | 요령성 요원시 용산구 산만향백강제약의 북쪽 산 |
요령성 요원시(遼源市) 용산구(龍山區) 산만향(山灣鄕) 백강제약(百康製藥)의 북쪽 산 위에 자리 잡은 고구려 산성.
성자산 산성은 서쪽 1㎞에 요원 시가지가 펼쳐지고 서남 1.5㎞ 거리에는 용수 산성(龍首山城)이 있고, 남쪽에는 동요하(東遼河)를 사이에 두고 공농 산성(工農山城)과 마주보고 있다. 입지 조건으로 보아 용수 산성의 측면을 지키던 산성이다.
특히 성 남쪽 기슭을 따라서는 고대로부터 이용되어온 이통∼요원 간 도로가 지나고 있어, 이통하 방면에서의 침입을 방어했음을 알 수 있다. 동요하를 거슬러 가면 이통하(伊通河)·휘발하(輝發河)·구하(寇河) 등의 하천들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요원 분지로 모여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지리적 요인으로 요원 분지는 동요하 지역에서 교통의 요지로 꼽힌다. 이들 지류를 거슬러 송화강(松花江)이나 요하 유역으로 나갈 수 있으며, 휘발하를 거쳐 집안(集安) 방향에도 이를 수 있었던 것이다.
성자산 산성은 서북쪽의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내려온 두 줄기의 산등성이를 따라 성벽이 축조되었다. 평면은 타원에 가까운 방형을 이루고 있다. 성벽의 길이는 726m이며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성벽은 흙을 층층이 다져 쌓아올렸다. 성벽 바깥으로는 참호가 둘러져 있는데, 서벽 구간에 선명하게 남아 있다.
산성에서 가장 낮은 지점인 남벽 중앙에 남문 터가 있다. 골짜기의 협곡 입구를 이용했는데, 성문 부근에서 성문 바깥쪽으로 한 줄기의 성벽을 하나 더 세워두었음을 알 수 있다. ‘U’자형 옹성 구조로 보인다. 북벽의 동단에도 문터가 하나 더 있다고 하지만, 터진 성벽의 흔적만 남아 있어 확실치 않다.
이 밖에 서북 모서리 등에는 각루가 세워져 있었고, 동남 구간에는 반원형 치의 흔적이 남아 있다. 북벽 인근에서는 건물터가 발견되었으며, 성 안의 경사지는 비교적 평탄하여 거주지로서 활용되었다고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