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농 산성

한자 工農 山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길림성 요원시 용산구 공농향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산성
크기 둘레 1.43㎞
조성|건립 시기/일시 고구려 중기 이후
현 소재지 요원시 용산구 공농향 소재지 동북쪽 1.5㎞ 거리의 공농산 42°53'20.7"N125°10'0.1"E
정의

길림성 요원시(遼源市) 용산구(龍山區) 공농향(工農鄕) 소재지 동북쪽 1.5㎞ 거리의 공농산에 위치한 고구려 산성.

건립 경위

공농 산성요원시에 자리한 용수 산성(龍首山城)의 방어성으로 기능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고구려가 길림과 요원 지역을 차지한 것은 5세기 이후이므로, 고구려 중기 이후에 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성에서 요·금 시기의 유물도 출토되고 있으므로, 고구려가 축성한 이후 발해와 요·금대까지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공농 산성은 요원시 용산구 공농향 소재지 동북쪽 1.5㎞ 거리의 공농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서북쪽으로 약 3.5㎞ 거리에 요원시의 중심가가, 동쪽 1㎞ 거리에 장마자구 계곡이, 남쪽 2.5㎞ 거리에 위당구 계곡이 있다.

산성은 정북 방향으로 동요하를 사이에 두고 용수 산성성자산 산성(城子山山城)과 마주보고 있으며, 산성 남쪽 산 아래에는 위진하(渭津河)가 서류하다가 서남쪽에서 물줄기가 서북으로 꺾은 다음 동북쪽에서 동요하와 합류하여 서쪽으로 흘러간다.

형태

공농 산성은 전체적으로 삼면이 하천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한 면은 산줄기로 이어지는 돌출 지형을 이루고 있는 천혜의 요새지이다. 산성은 대략적으로는 타원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산성에서 가장 높은 곳은 동북 모서리로 해발 384m이다. 산성의 지세는 험준하며, 북벽과 북쪽의 큰 언덕과의 사이에 깊은 계곡이 형성되어 있다. 성벽의 전체 둘레는 1,431m이며, 서벽 길이 390m, 북벽 길이 300m, 남벽 길이 487m, 동벽 길이 254m이다.

현황

공농 산성은 전체 둘레가 1.5㎞에 달하며 산세를 따라 판축 공법 등을 이용하여 성벽을 축조한 토성으로 알려져 있다. 서벽의 경우 잔고는 5m이며, 기저부의 폭은 8m, 상부의 폭은 2m 가량이다. 동, 남 양쪽 성벽은 험준한 산 능선을 따라 축조하였는데, 잔고는 약 1m이다. 문지는 남벽과 서벽, 북벽 세 곳에 설치되었으며, 남문과 북문지 양쪽에 치로 추정되는 평대가 있다. 현재는 경작지로 변한 상태이며, 서문 양측에도 장방형의 평대가 있다.

성 내에서는 선사시대의 유물을 비롯하여 회색 니질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고구려에 의해 축조되어 발해 및 요·금대까지 연용된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공농 산성은 요원의 용수 산성 동남쪽에 위치해 있을 뿐 아니라 서북쪽의 동요하·위진하를 천연 해자로 삼아 방어벽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구려 시기에 용수 산성의 배후 산성으로 기능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참고문헌
  • 여호규,『高句麗 城』Ⅱ(國防軍史硏究所, 1999)
  • 王綿厚, 『高句麗古城硏究』(文物出版社, 2002)
  • 王禹浪·王宏北,『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上(哈爾濱出版社, 2007)
  • 國家文物局,『中國文物地圖集』-遼寧分冊(西安地圖出版社, 200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