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木頭溝 石槨墓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요령성 조양시 조양현 목두구촌 |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고조선 |
| 성격 | 석곽묘 |
|---|---|
| 양식 | 석곽묘 |
| 크기 | 200cm[길이]|60cm[너비](1호 무덤구덩이) |
| 조성 시기/일시 | 고조선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79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9년 |
| 소재지 | 요령성 조양시 조양진 목두구촌 |
요령성(遼寧省) 조양시(朝陽市) 조양진(朝陽鎭) 목두구촌(木頭溝村)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석곽묘군.
목두구 석곽묘는 요령성 조양시 조양진 목두구촌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석곽묘군[3기 이상]이다. 십이대영자 문화(十二臺營子文化) 십이대영자 유형(十二臺營子類型)의 주요 유적 가운데 하나이다.
목두구 석곽묘는 요령성 조양시 조양진 목두구촌의 대릉하(大凌河)로 유입되는 작은 개울가의 충적 대지에 위치하고 있다.
1979년 마을 주민이 밭을 갈다가 석곽묘 1기의 내부에서 유물을 발견한 것을 계기로 조양 지구 박물관(朝陽地區博物館)에서 목두구 석곽묘를 수습 조사하였다. 1979년 이전에도 석곽묘 발견 지점 부근에서 여러 기의 석곽묘가 노출된 적이 있다고 한다.
목두구 석곽묘는 길이 2m·너비 0.6m의 무덤구덩이 내에 괴석과 자갈돌을 혼합하여 석곽을 축조하고 무덤구덩이 상면에 괴석을 충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바닥부는 흙을 다져 놓기만 하였다. 석곽 내부에서는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두향 동남쪽의 1인이 앙신직지(仰身直肢)의 형태로 피장되어 있었다.
목두구 석곽묘에서는 비파형 동검(琵琶形銅劍) 1점, 동목혼합 검병(銅木混合劍柄) 1점, 검병 두식(劍柄頭飾) 1점, 청동 도끼 1점, 청동 손칼 1점, 청동 송곳 1점 등이 출토 되었다.
목두구 석곽묘는 강물로 인한 침식과 계속된 경작으로 유적의 보존 상태가 좋지 않다.
목두구 석곽묘는 십이대영자 문화 십이대영자 유형의 하위 고분군이다. 이 석곽묘군은 십이대영자 석곽묘군을 상위로 한 조양 분지 일대의 십이대영자 문화 십이대영자 유형 사회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한편 조양 분지 일대의 십이대영자 문화 십이대영자 유형 집단을 전기 고조선의 핵심 집단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