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遼東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요령성 요양시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성곽 |
|---|---|
| 조성|건립 시기/일시 | 고구려 중기 |
| 현 소재지 | 요령성 요양시 |
요동성은 요령성 요양시(遼陽市)에 위치하고 있다. 요양시는 태자하(太子河) 서안의 충적 평야에 자리 잡고 있다. 서북쪽으로는 요동 평원이, 동남쪽으로는 구릉성 평지가 전개되다가 천산 산맥이 나타난다. 요양시 일대는 요동 평원에서 천산 산맥의 점이지대로, 예로부터 요동 평원을 따라 요동 반도와 혼하(渾河) 방면뿐 아니라 천산 산맥을 넘어 압록강 일대로 나아가는 육상 교통로가 발달하였다.
요양 구성(遼陽舊城) 남벽 아래와 동북 모서리 부근에서 한대(漢代)의 기와와 함께 고구려 시기의 기와 조각이 출토되었고, 요양시 구성구(舊城區) 북부에서 고구려 시기 유물이 상당수 출토되었고, 요양 구성 서벽 안쪽의 학교 근처에서 고구려 시기의 석실묘가 발견된 것을 볼 때, 요양 구성 일대에 요동성이 위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요동성은 현재의 요양시에 존재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그 위치는 정확하지 않다. 북한에 남아있는 요동성총의 벽화를 통해 성곽의 구조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장방형의 평면 형태를 보이는 요동성에는 성벽에 여장과 치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의 모서리에는 각루가 있으며, 문루는 외성 동문· 서문· 남문에 있다. 외성 동문·서문의 문루는 2층 구조인데, 남문의 문루는 단층이다. 외성의 동문 안쪽 좌우에는 단층집이 한 채씩 있는데, 오른쪽 집 아래에 ‘요동성(遼東城)’이라고 쓴 명문이 있다. 내성에는 2층 기와집과 3층 목탑이 있으며, 외성 동문 바깥에도 누각 같은 다층집이 한 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