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타자 문화

한자 雙砣子 文化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요령성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고조선
정의

요동 반도 남단과 남부의 일부 지역에 걸쳐 있던 대련시 쌍타자 유적을 표지로 하는 전기 청동기 시대 고고학 문화.

개설

쌍타자 문화(雙砣子文化)는 대련시 시구를 중심으로 요동 반도 남단과 남부의 일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던 쌍타자 1기 문화, 쌍타자 2기 문화, 쌍타자 3기 문화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1~3기 문화로 구분되고 있지만, 묘제와 토기 등에서 연속성과 동질성이 강하므로 쌍타자 문화로 일괄할 수 있다.

주요 유적과 유물

쌍타자 문화의 1기 문화의 주요 유적으로는 대련시 감정자구(甘井子區) 쌍타자 1기층·대취자(大嘴子) 하층 유적, 대련시 여순구구(旅順口區) 우가촌(于家村) 하층·소흑석(小黑石) 하층·대대산(大臺山) 하층 유적, 장하시(庄河市) 후염타자(後鹽坨子) 하층 유적 등이, 쌍타자 2기 문화의 주요 유적으로는 대련시 감정자구 쌍타자 2기층, 대련시 여순구구 북해대타자(北海大砣子) 하층·소흑석타자(小黑石砣子) 중층 유적, 장해현(長海縣)대장산도(大長山島)상마석(上馬石) 옹관묘, 장하시(庄河市) 화원구(花園口) 유적 등이, 쌍타자 3기 문화의 주요 유적으로는 대련시 감정자구 쌍타자3기층·대취자 상층 유적, 대련시 여순구구 우가촌 상층·북대대타자 상층·소흑석타자 상층 유적, 보란점시(普蘭店市) 고려채(高麗寨)·단타자(單砣子) 유적 등이 있다.

쌍타자 1기 문화의 주요한 유물 요소로는 봉상석부(棒狀石斧)·편평사인석부(扁平斜刃石斧)·돌 꺽창·돌 창·흑도광견대구호(黑陶廣肩大口壺)·흑도종향파수배(黑陶縱向把手杯)·누공대각천반두(鏤孔臺脚淺盤豆)·광견대구옹형토기(廣肩大口甕形土器)·채회기하문토기(彩繪幾何文土器)·반지하식 평면 타원형 단실과 쌍실 주거지·적석묘 등이 있다.

쌍타자 2기 문화의 주요한 유물 요소로는 석도·그물 추·가락 바퀴·경부돌릉문(頸部突稜文) 단경호·이중구연단사선문(二重口緣短斜線文) 단경호·나팔대각 심반두(深盤豆)·단족정(短足鼎)·언(甗)·삼편족궤(三扁足簋)·자모구(子母口) 기개(器盖)·적석묘 등이 있다.

쌍타자 3기 문화의 주요한 유물 요소로는 석월(石鉞)·돌 꺽창·돌 창·편평사인석부(扁平斜刃石斧)·돌 낫·석도·그물 추·가락 바퀴·뼈 낚시 바늘·청동 낚시 바늘·양익유경식 동촉·집선문 장동단경호·이중구연 장동단경호·광견호(廣肩壺)·이중구연 광견단경호(廣肩短頸壺)·광견외반구연호(廣肩外反口緣壺)·광견옹형토기(廣肩甕形土器)·대각부 옹형 토기·대각부 호형 토기·종향파수 이중구연 배(杯)·나팔대각 옹형두(甕形豆)·누공단각궤(鏤孔短臺脚簋)·망문대각절복관(網文臺脚折腹罐)·대구옹형토기(大口甕形土器)·채회토기·언(甗)·반지하식과 지상식 석축 주거지·적석묘 등이 있다.

분포

쌍타자 문화는 요동 반도 남단 대련시 시구를 중심지로 하여 북쪽으로 복주만(復州灣) 연해 지역으로부터 보란점시 소재지를 거쳐 장하시 성자탄진(城子坦鎭)에 이르는 선의 이남 지역으로 분포하고 있다. 보란점시 피구진(皮口鎭) 앞 바다에 있는 장해현의 장산 군도(長山群島)도 이 문화의 분포 범위에 포괄된다.

연대

쌍타자 문화에는 산동성 산동 반도의 특징적인 토기류가 공반 하고 있어 이를 기준으로 편년이 이루어지고 있다. 쌍타자 1기 문화는 기원전 20~16세기, 쌍타자 2기 문화는 기원전 16~14세기, 쌍타자 3기 문화는 기원전 14~11세기이다.

의의와 평가

쌍타자 문화는 쌍타자 1기 문화부터 쌍타자 2기 문화에 이르기까지 중국산동성 산동 반도의 물질 문화와 밀접한 문화 교류를 행하였다. 특히 쌍타자 2기 문화의 경우에는 산동 반도 악석 문화(岳石文化)의 전형적인 토기들이 다수 공반 하고 있어, 이 기간 동안 요동 반도 남단과 산동 반도 지역 간의 교류가 빈번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쌍타자 3기 문화부터는 산동 반도의 동시대 전형 유물이 공반 하지 않음과 동시에 토착적인 기종과 기형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기원전 10~9세기 요동 반도 남단 일대에 후기 청동기 문화로서 강상 유형(崗上類型)이 형성된다. 따라서 쌍타자 문화, 특히 쌍타자 3기 문화를 예맥 청동기 문화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점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오강원, 『비파형 동검 문화와 요령 지역의 청동기 문화』(청계, 2006)
  • 郭富純·趙錫金 主編, 『大連古代文明圖說』(吉林文史出版社, 2010)
  • 金貞培, 「韓民族의 起源과 國家 形成의 諸問題」(『국사관 논총』 1, 국사편찬위원회, 1989)
  • 오강원, 「청동기~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 물질 문화의 전개와 고조선」(『동양학』53,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2013)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