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費阿拉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요령성 무순시 신빈만족자치현 영릉진 이도하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산성 |
|---|---|
| 크기 | 성벽 전체 둘레 5.66㎞ |
| 문물|보호단위등급 | 성급 문물 보호 단위 |
| 조성|건립 시기/일시 | 고구려 시기 |
| 개축|증축 시기/일시 | 명 |
| 현 소재지 | 요령성 무순시 신빈만족자치현 영릉진 이도하촌 40°40'1.4"N124°51'30.2"E |
요령성(遼寧省) 무순시(撫順市) 신빈현(新賓縣) 영릉진(永陵鎭) 이도하촌(二道河村) 동남쪽에 위치한 고구려 산성.
비아랍성은 요령성 신빈현 영릉진 이도하자촌 동남쪽에 위치한다. 이 일대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소자하(蘇子河)를 따라 평지가 펼쳐져 있으며, 환인(桓仁)과 심양(瀋陽)으로 연결되는 도로들이 지나고 있어 전략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였다.
산성 주변의 영릉진 동남쪽에는 제2 현도군 치소로 알려진 영릉진 고성이 위치한다. 영릉진 고성의 서쪽에는 각이찰성(覺尔察城)이 있다.
비아랍성은 내성과 외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평면 형태는 원형이다. 산성은 해발 375m의 최고봉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5개 봉우리를 남쪽에 두고, 북쪽으로는 두 개의 골짜기를 품고 있어, 성벽 전체 둘레가 5.66㎞에 달하는 대형 산성이다.
비아랍성은 성벽 전체 둘레가 5.66㎞에 달하는 성으로, 외성과 내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벽은 자연석을 쌓고 그 위에 성토하여 축조하였다. 일부 구간에서는 절벽을 천연 성벽으로 삼기도 하였다. 외성에는 5곳, 내성에는 6곳의 성문이 있는데, 옹성이 설치된 곳도 있다. 외성과 내성 사이에는 동북~서남 방향의 성벽이 별도로 축조되어 있어 차단벽의 역할을 한다. 이를 중성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성은 구노성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명대에 후금의 누르하치가 머물렀던 곳이다. 고구려가 축조하고, 명대(明代)에 개축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고구려와 전연(前燕)과의 전투 기사 등에서 등장하는 남소성(南蘇城)으로 보는 견해도 제기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