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東溝 石棺墓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요령성 철령시 서풍현 서풍진 동창촌 동구둔 |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고조선 |
| 성격 | 석관묘 |
|---|---|
| 양식 | 석관묘 |
| 크기 | 162cm[길이]|42cm[너비]|43cm[두께](1호 석관) |
| 조성 시기/일시 | 고조선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9년 7월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9년 9~10월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9년 9~10월 |
| 소재지 | 요령성 철령시 서풍현 서풍진 동창촌 동구둔 |
요령성(遼寧省) 철령시(鐵嶺市) 서풍현(西豐縣) 서풍진(西豐鎭) 동창촌(東昌村) 동구둔(東溝屯)에 있는 청동기 시대[고조선 시대]의 석관묘군.
동구 석관묘는 요령성 철령시 서풍현 서풍진 동창촌 동구둔동산(東山) 북사면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석관묘군이다. 요동 북부의 후기 청동기 문화인 이도하자(二道河子) 유형의 주요 유적 가운데 하나이다.
동구 석관묘는 요령성 철령시 서풍현 서풍진 동창촌 동구둔 동산 북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에 구하(寇河)가 있고, 유적으로부터 구하를 건너 북쪽으로 2.5㎞에 서풍현 소재지가 있다.
동구 석관묘군은 동구 유적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2009년 고속도로가 지나가는 구간에 대해서만 발굴 조사를 하였는데, 17기의 석관묘와 1기의 토광묘(土壙墓)가 조사되었다.
석관묘는 기본적으로 판석조(板石造) 무부관식(無副棺式)에 다판개석(多板盖石)의 구조로 되어 있는데, 10호 석관묘와 같이 장대석형의 석재를 평적하여 벽석을 축조한 것도 있다. 1호 석관묘는 무덤구덩이가 길이 2.3m·너비 1.2m·깊이 0.8m이고, 석관은 길이 1.62m·너비 0.42m·높이 0.43m이다.
동구 석관묘의 부장 수준은 매 석관마다 토기 2기종 각 1점, 석기 1∼2점 정도로 빈약한 편이다. 토기로는 미송리형(美松里型) 호(壺)·대화방형(大伙房型) 관(罐)·횡향(橫向)의 손잡이가 달린 옹형 토기(饔形土器)·완(碗)·원판형 가락 바퀴·주판 알 모양의 가락바퀴 등이 있고, 석기로는 합인석부(蛤刃石斧)·주형석부(柱形石斧)·반월형 석도(石刀)·원판형 가락바퀴·삼각요저 석촉(石鏃) 등이 있다.
동구 석관묘는 고속 도로 건설 구간 이외의 지점에도 유적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 유구가 잔존하고 있지만, 고속 도로 건설로 인해 유적의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은 편이다.
동구 석관묘에서는 다량의 미송리형 호가 출토되었는데, 석관묘의 배치 정형과 간격, 동일 층위의 굴광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이들 석관묘군 전체는 시간폭이 크지 않은 동일 단계에 조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10호 석관묘 등이 나팔 장경호(長頸壺)·계관상파수(鷄冠狀把手)·주상파수(柱狀把手)·설상파수(舌狀把手)·산형(山形) 검병 두식(劍柄頭飾)·고병두(高柄豆)·주조철부(鑄造鐵斧)· 철제 환수도자(環首刀子) 등이 공반하는 사가가 유형(謝家街類型)의 취락지 관련 구(溝)에 의해 파괴되어 있다는 점과, 공반하는 미송리형 호의 동체부가 쌍타자(雙砣子) 3기 유형·마성자 문화(馬城子文化)로부터 이 일대 후기 청동기 시대까지의 토기의 기형 전반의 변천을 놓고 볼 때, 절복(折腹)과 동체 상하부의 축약 등의 현상에서 보란점시(普蘭店市) 쌍방(雙房) 6호 지석묘 등 보다는 조금 늦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미송리형 호와 석기 각 1점만이 공반하기는 하나, 기원전 7세기로 편년된다.
서풍현동구 석관묘군은 요동 북부의 후기 청동기 문화인 이도하자 유형에 속하는 유적이다. 한편 동구 석관묘군을 비롯한 이도하자 유형의 유적군을 고조선 유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