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桴京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요녕성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창고 |
|---|
중국 동북지역에 있었던 고대국가인 고구려의 집집마다 있었던 작은 창고.
3세기 중엽의 고구려 상황을 보여주는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고구려조(高句麗條)에 의하면, 고구려에는 큰 창고가 없고 집집마다 작은 창고가 있는데 그것을 이름하여 부경이라 했다(無大倉庫, 家家自有小倉, 名之爲桴京)고 한다. 부경의 ‘부(桴)’자는 ‘뗏목’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경(京)’은 ‘곳집’, ‘큰 창고’라는 의미가 있는 글자이다. 따라서 부경은 통나무나 대나무 등을 뗏목 엮듯이 엮어 만든 곳집이나 창고를 의미한다. 고구려고분벽화에 그려진 그림을 통해 2층으로 된 누각 형태의 창고였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는 겨울철에 춥고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 있으므로, 창고를 2층 누각형태로 지어 습기가 직접 닿지 않게 양식을 보관하기 위해 부경을 집집마다 만들었다.
고구려부경의 모습은 덕흥리 벽화고분과 팔청리 벽화고분, 마선구 1호 벽화고분에 그려진 창고 모양을 통해 유추해볼 수 있다. 고분에 그려진 그림을 보면 부경은 땅에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곳간을 만든 2층의 다락식 창고임을 알 수 있다. 덕흥리 벽화고분에는 창고식 건물에 사다리를 걸치고 올라가는 사람을 그려놓았다. 농작물은 2층에 보관하므로 땅에서 올라오는 습기가 농작물에 직접 닿지 않게 할 수 있고, 덕흥리 고분 벽화처럼 벽면에 두 개의 창을 내거나, 마선구 1호분 벽화처럼 나무를 발처럼 엮어 벽을 만들어 통풍이 잘 되도록 했다.
고구려 시기에 집집마다 갖추고 있던 작은 창고인 부경이 현대에 이르기까지도 존속하는 것은 이 지역의 자연환경과 식문화의 조건이 부경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에도 한겨울 환인이나 집안 인근 시골마을에는 쇠그물망으로 벽체를 한 2층의 다락식 창고에 옥수수를 보관하고 1층에 농기구를 놓아둔 부경인 옥미창(玉米倉)이 많이 있다. 거주건물과 별개 구조물로 보온보다는 습기방지와 통풍에 비중을 둔 창고를 둔 것을 보면, 고구려 당시에도 옥수수 등을 주식량으로 했음을 알 수 있다. 백제의 관청인 경부나 신라의 집모양 토기, 일본의 정창원 등의 예를 통해 고구려의 특징적인 창고인 부경이 남부 지역에도 문화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