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李家堡 山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요령성 본계시 초하구진 강초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산성 |
|---|---|
| 크기 | 성벽 둘레 5.5㎞ |
| 조성|건립 시기/일시 | 고구려 시대 |
| 현 소재지 | 요령성 본계시(本溪市) 초하구진(草河口鎭)의 남쪽, 심양(瀋陽)~단동(丹東) 도로의 동편 강초촌(茳草村) 서쪽 산 |
요령성 본계시 초하구진의 남쪽, 심양~단동 도로의 동편 강초촌 서쪽 산에 위치한 고구려 산성.
이가보 산성이 위치한 지역은 서북쪽 산 정상부에서 남으로 길게 펼쳐진 산줄기가 동쪽으로 방향을 바꿔, 정상부에서 곧바로 내려온 산줄기와 만나 커다란 골짜기를 이루고 있다. 성벽은 이 두 줄기의 산등성이를 따라 축조되었다. 전체 둘레가 약 5.5㎞에 이르는데, 규모에 비해 성 안의 면적은 좁은 편이다.
성 벽은 돌로 쌓았는데, 외벽은 가공한 쐐기형 돌로 쌓았고, 그 안에 작은 돌을 끼워 넣었다. 남은 높이가 2~5m, 정상부의 너비는 1m 정도이다. 심양~단동 도로 방면을 상대하는 서벽 구간을 중심이 석벽이 잘 남아 있는 편이다. 특히 심양 방면에서 내려오는 방향인 서북 벽에는 각대가 세워져 있어, 이 성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서남 벽에는 도로 방향으로 문이 나 있다. 정상부에서 내려온 두 개의 산줄기가 평지에 닿는 동편에 벽체로 보이는 차단벽이 남아 있다. 그 전면에 산줄기가 남북에서 내려와 있어 성문을 두 개의 장벽이 감싸는 형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산성 아래의 촌락 명칭은 본래 이가보촌 이었으나 현재는 강초촌으로 바뀌었다. 산성의 명칭도 이가보 산성 또는 초하구 산성으로 불리웠으나 강초 산성으로 바뀌었다. 서벽과 평행하여 달리는 도로는 곧장 봉성시와 봉황산으로 이어지는데, 그곳의 오골성과 강초 산성 간의 관계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