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배 산성

한자 鐵背 山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요령성 무순시 무순현 장당향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산성
크기 내성의 둘레 2.5㎞|동위성 1.7㎞|서위성 0.3㎞
문물|보호단위등급 성급 문 물보호 단위
조성|건립 시기/일시 고구려
현 소재지 요령성 무순시 동쪽의 무순현 장당향의 대화방 저수지의 동쪽 철배산
정의

요령성 무순시 동쪽의 무순현 장당향(撫順縣 章黨鄕)의 대화방(大伙房) 저수지 동쪽 철배산에 위치한 고구려 산성.

건립 경위

철배 산성에서는 주로 청대 유물이 출토되고 있지만, 고구려 시기에 처음 건축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342년 고구려와 전연과의 전투 기사에 등장하는 남소성으로 비정되기도 한다.『한원』에 따르면 남소성은 ‘잡성[신성의 오기?] 북쪽 70리 산 위’에 위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위서』 고려조에 의하면 전연은 “남협(南陜)으로부터 들어가서 목저(木底)에서 싸워 쇠[劍, 고국원왕]의 군대를 대파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자치 통감』을 주석한 원대 호삼성(胡三省)에 따르면, ‘남도(南道)는 남협을 따라 목저성으로 들어간다’, ‘남소성(南蘇城)은 남협 동쪽에 있다’등의 기록이 전한다.

위치

철배 산성은 무순시에서 동쪽으로 32㎞ 떨어진 무순현 장당향 고려영자촌(高麗營子村)대화방 저수지의 동쪽 철배산에 위치한다. 철배 산성살이호 산성이 소자하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위치하는데, 두 성의 거리는 약 2㎞이다. 동남쪽으로 약 6~70㎞ 떨어진 지점에는 후금의 도성인 혁도아랍성(赫圖阿拉城)이 있다.

주변이 수몰되기 이전의 지형을 살펴보면, 산성은 혼하와 소자하 합류지점 동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혼하를 따라 내려가면 무순을 거쳐 요동 평원으로 나아갈 수 있고, 혼하 상류를 따라 거슬러 올라가면 휘발하 일대를 거쳐 부여 중심지였던 송화강 중류 지역이나 고구려 초기 중심지인 혼강(渾江) 일대로 진입할 수 있었다. 또한 동남쪽으로 소자하를 따라 나아가면 곧바로 혼강 일대로 진입할 수 있고, 소자하~태자하의 산간로를 통해서 태자하 상류일대로 나아갈 수 있었다.

형태

철배 산성이 위치한 철배산은 해발이 283m인데, 동서 방향으로 길고 폭이 좁다. 산성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산봉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면은 불규칙하다. 전체적으로 산성 북면은 가파른 절벽이고, 남면은 가파른 구릉이다. 산성의 둘레 및 형태에 대해서는 중국 측 자료마다 차이를 보이는데, 국가 문물국에 따르면, 산성은 산세를 따라 축조하였으며, 내성, 동위성, 서위성으로 이루어진 복곽식 산성이다.

이들 성은 동일한 산등성이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 각 성은 독립적이면서도 서로 연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남·북이 험준한 지형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방어력이 약한 동쪽과 서쪽에는 위성을 축조하여 내성을 보호하고 있다.

현황

철배 산성은 현재 대화방 수고로 인해 육로로는 접근할 수 없다. 혼하를 거슬러 후미에 선착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그 위로 폭 1m의 콘크리트 계단이 산 정상부를 향해 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산성은 내성과 동위성, 서위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축성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산성이 산세에 의지하여 축조되면서, 성벽 축조 방식도 토축, 석축, 토석 혼축 등으로 다양하다. 내성의 둘레는 2.5㎞ 가량이며, 동위성은 1.7㎞, 서위성은 0.3㎞이다. 내성에는 동문과 서문이 있으며, 내부에서는 건물지의 흔적도 확인된다. 지표에서는 푸른 벽돌과 암키와, 철 못, 청화 자기 조각 등과 같은 청대의 유물이 주로 수습된다.

의의와 평가

철배 산성은 전연과의 전투에서 등장하는 고구려의 주요 교통로인 남도, 북도와 관련한 남소성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산성 내에서 고구려 시기에 해당하는 유물이 출토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보다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 여호규,『高句麗 城』Ⅱ(國防 軍史 硏究所, 1999)
  • 東潮·田中俊明 저, 『고구려의 역사와 유적』(동북아 역사 재단, 2008)
  • 國家文物局,『中國文物地圖集』-遼寧分冊(西安地圖出版社, 200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