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大伙房 石棺墓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요령성 무순시 무순현 장당진 대화방촌 |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고조선 |
| 성격 | 석관묘 |
|---|---|
| 양식 | 석관묘 |
| 크기 | 200cm[길이]|80cm[너비](1호 석관) |
| 조성 시기/일시 | 고조선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56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56년 |
| 소재지 | 요령성 무순시 무순현 장당진 대화방촌 |
요령성 무순시(撫順市) 무순현(撫順縣) 장당진(章黨鎭) 대화방촌(大伙房村)에 있는 청동기 시대[고조선 시대]의 석관묘.
대화방 석관묘는 요령성 무순시 무순현 대화방촌 북산(北山) 남사면에 있는 석관묘군[2기]이다. 요동 북부의 후기 청동기 문화인 이도하자 유형(二道河子類型)의 주요 유적 가운데 하나이다.
대화방 석관묘는 요령성 무순시 무순현 대화방촌 동쪽의 북산 남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대화방 석관묘는 구릉 완사면지 지표 아래 30㎝에 자색(紫色) 판암(板岩)으로 축조된 2기의 석관묘[동 : 2호, 서 : 1호]가 동서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요령성 박물관의 관계자가 현장에 도착하였을 때에는, 2호는 완전히 파괴된 상태였고, 1호는 석관 내에서 유물이 모두 꺼내어진 상태였다. 1호 석관묘의 석관 규모는 길이 2m, 너비 0.8m이다.
대화방 석관묘는 1호 석관묘 내부에서 선형 동부(扇形 銅斧) 1점, 돌 끌 1점, 돌 도끼 1점, 미송리형 호편 등이 출토되었다.
대화방 석관묘는 현재 대화방 댐 건설로 수몰되었다.
대화방 석관묘는 요동 북부 지역의 후기 청동기 문화인 이도하자 유형(二道河子類型)의 주요 유적 가운데 하나이다. 이 무덤의 조사를 통해 요령성 일대의 청동기 문화에서 석관묘와 선형 동부가 중요한 문화적 요소를 갖고 있다는 인식을 갖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인식은 나중에 요동 북부 지역에 주변 지역과 구별되는 이도하자유형이 있었다는 연구로까지 확대된다. 대화방 석관묘는 중국 동북 지역에서 미송리형 호가 처음으로 확인된 유적이기도 하다.
한편 대화방 석관묘를 비롯한 이도하자 유형의 비파형 동검·미송리 형호 출토 유적군을 고조선 유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