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大甸子 類型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 지역 | 요령성 |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고조선 |
요령성 환인만족자치현대전자 대석개묘를 표지로 하는 초기 철기 문화.
대전자 유형은 혼강 유역을 중심으로 요동 동부 지역의 청동기 문화인 대이수구 유형(大梨樹溝類型)을 직접적인 선행 문화로 하여 같은 지역에 형성되어 있던 초기 철기 문화이다.
중심적인 유물 요소는 대석개묘, 중세형 동검, 협봉 동모, 다뉴기하문경, 전국 연계 청동기와 철제 이기류, 명도전, 종향대상파수호, 심발형 토기 등이다. 존속 기간은 기원전 4~3세기이다. 이 시기에 요동 동부 지역이 대이수구 유형기의 석기 중심 사회에서 청동기 중심 사회로 변모된다.
주요 유적으로는 환인만족자치현대전자 대석개묘·용두산(龍頭山) 대석개묘·간구(干溝) 대석개묘, 관전현(寬甸縣) 조가보자(趙家堡子) 돌무덤·포자연(泡子沿) 유적·사평가(四平街) 적석석관묘, 봉성시(鳳城市) 소진가(小陳家) 적석석관묘, 동구현(東溝縣)대방신(大房身) 유적, 통화현(通化縣) 소도령(小都嶺) 매납 유구·만발발자(萬發撥子) 3기층, 백산시(白山市) 혼강구(渾江區) 위사하(葦沙河) 취락지 등이 있다.
대전자 유형은 유물 구성으로 보아 연나라 요동군의 각 군현들과 다양한 형태의 교역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요동 지역에서의 연나라 유적의 분포 양상을 고려할 때 주요한 교역 대상은 수암만족자치현(岫岩滿族自治縣) 이대보(李大堡)·용담하북(龍潭河北) 취락지, 봉성시(鳳城市) 유가보자(劉家堡子)·적구(赤溝) 취락지, 동항시(東港市) 성산구(城山溝) 성산(城山) 성지·서첨산(西尖山) 취락지 등 서해 연안의 연나라 성지와 취락지 였을 것이다.
대전자 유형은 연나라와의 접촉과 그로 인해 유발된 내·외적인 자극을 통해 주변 요동 지역의 토착 집단으로부터 동검·동모·동경을 중심으로 한 비파형 동검 문화 계통 청동기의 제작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이를 재해석하여 새로운 형식의 청동기를 대량으로 제작하여 보급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 이 일대 지역 수장층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된 청동기 제작 기술과 그를 통해 생산된 청동기의 보급은 다시 이러한 기술의 확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지역 수장층들의 권력을 강화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기원전 4~3세기 환인 일대 물질 문화의 변동은 청동기에서만 비교적 뚜렷할 뿐, 주거 생활 및 경제 활동과 깊은 연관이 있는 주거지·토기·석기에서는 주목할 만한 혁신성을 보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토기의 경우 오녀산 II기층에서 잘 드러나듯이, 환인 일대 재래의 토기 제작 방식·토기 조합·기형이 이 시기에도 그대로 지속된다. 석기 또한 마찬가지인데, 거의 모든 석기에 걸쳐 마제가 철저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혁신적인 변화가 찾아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전자 유형은 기존의 석기 중심 사회가 청동기 중심 사회로 전환되는 시기였다는 점에서 사회 문화적으로 적지 않은 의미를 갖고 있다. 더욱이 대전자 유형은 곧 이은 기원전 2~1세기 중엽 망강루 유형(望江樓類型)으로 전환되는데, 기원전 1세기 전엽에는 망강루 유형을 기반으로 하여 초기 고구려 문화가 환인현 일대에 형성되기에 이른다. 따라서 대전자 유형과 망강루 유형을 각각 초기 고구려 문화의 단계적인 기원을 이루고 있다는 의미에서 선고구려문화 I기·II기로도 규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점에서도 대전자 유형이 갖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