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이수구 유형

한자 大梨樹溝 類型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요령성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고조선
정의

요령성(遼寧省)혼강(渾江)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 동부 지역의 청동기 문화.

개설

대이수구 유형(大梨樹溝類型)은 요령성(遼寧省) 환인만족자치현(桓仁滿族自治縣) 대이수구(大梨樹溝) 석관묘군을 표지로 하는 요동 동부 지역의 청동기 문화이다. 이후 대이수구 유형과 같은 분포권을 형성하고 있던 대전자 유형(大甸子類型)으로 변동된다.

주요 유적과 유물

대이수구 유형의 주요 유적으로는 환인만족자치현 대이수구 석관묘군·포권구(狍圈溝) 취락지·하고성자(下古城子) 청동기 시대층, 봉성시(鳳城市) 서혁가보자(西赫家堡子) 동산(東山) 지석묘군(支石墓群) 등이 있다. 중심적인 유물 요소로는 대이수구형 호(壺), 노성형(老城型) 호, 각종 발형 토기, 장삼각(長三角) 석촉, 양익유경식(兩翼有莖式) 석촉, 유경식 마제석검(磨製石劍), 타제(打製) 돌 괭이, 장방형(長方形)·주형(舟形) 석도(石刀), 석관묘 등이 있다.

분포

대이수구 유형은 혼강 중·상류역을 중심 분포권으로 하여 동쪽으로는 압록강 서안까지, 서쪽으로는 노독정자산(老禿頂子山)과 그 남북의 산줄기 동사면 까지, 북쪽으로는 길림성(吉林省)통화시(通化市)까지, 남쪽으로는 봉성시(鳳城市)관전만족자치현(寬甸滿族自治縣) 일대까지이다.

압록강을 경계로 하여 압록강 중·상류역의 공귀리 유형(公貴里類型)과 압록강 중하류역의 신암리(新岩里)~미송리 유형(美松里類型)과, 서쪽으로는 노독정자산과 그 남북의 산줄기를 경계로 요동 북부 지역의 이도하자 유형(二道河子類型)과 이웃하여 있다.

연대

대이수구 유형의 환인만족자치현대이수구 석관묘에 부장되어 있는 토기와 석기는 요동 북부 지역의 전기 청동기 문화인 마성자 문화(馬城子文化) 후기 단계 전엽의 유물과 유사하다. 이러한 점과 함께 요동 동부 지역에서 전형적인 마성자 문화 토기를 출토하는 유적이 많지 않다는 점, 동일 유물이라도 시간적으로 지체되었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대이수구 석관묘군을 기원전 12세기로 편년할 수 있고, 이를 대이수구 유형의 상한 연대로 잡을 수 있다. 하한은 기원전 4~3세기 대이수구 유형의 같은 분포권 내에 요동 동부 지역의 초기 철기 문화인 대전자 유형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아 기원전 5세기로 잡을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대이수구 유형은 청동기~철기 시대 요동 동부 지역의 물질 문화로 대전자 유형, 망강루 유형(望江樓類型), 초기 고구려 문화로 변동된다. 이들 물질 문화는 시간과 문화의 변화에 따라 묘제가 석관묘, 대석개묘, 적석묘, 적석총 등으로 변모되는 등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호(壺)와 발(鉢) 등에서 강한 계통적인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볼 때, 대이수구 유형은 고구려 문화의 먼 지역적·문화적 기반이었다고 할 수 있다. 대이수구 유형의 족속은 예맥계(濊貊系)로 인식되고 있는데, 고구려로 이어지는 요동 동부 지역 맥계 족속의 조상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오강원, 『비파형 동검 문화와 요령 지역의 청동기 문화』(청계, 2006)
  • 오강원, 「오녀산과 환인 지역의 청동기 문화와 사회」(『북방사 논총』3, 고구려연구재단, 2005)
  • 오강원, 「遼寧 地域의 靑銅器·初期 鐵器 時代 複合 社會의 形成과 社會 變動」(『先史와 古代』 38, 한국 고대 학회, 2013)
  • 오강원, 「청동기~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 물질 문화의 전개와 고조선」(『동양학』53,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2013)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