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大梨樹溝 類型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 지역 | 요령성 |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고조선 |
요령성(遼寧省)혼강(渾江)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 동부 지역의 청동기 문화.
대이수구 유형(大梨樹溝類型)은 요령성(遼寧省) 환인만족자치현(桓仁滿族自治縣) 대이수구(大梨樹溝) 석관묘군을 표지로 하는 요동 동부 지역의 청동기 문화이다. 이후 대이수구 유형과 같은 분포권을 형성하고 있던 대전자 유형(大甸子類型)으로 변동된다.
대이수구 유형의 주요 유적으로는 환인만족자치현 대이수구 석관묘군·포권구(狍圈溝) 취락지·하고성자(下古城子) 청동기 시대층, 봉성시(鳳城市) 서혁가보자(西赫家堡子) 동산(東山) 지석묘군(支石墓群) 등이 있다. 중심적인 유물 요소로는 대이수구형 호(壺), 노성형(老城型) 호, 각종 발형 토기, 장삼각(長三角) 석촉, 양익유경식(兩翼有莖式) 석촉, 유경식 마제석검(磨製石劍), 타제(打製) 돌 괭이, 장방형(長方形)·주형(舟形) 석도(石刀), 석관묘 등이 있다.
대이수구 유형의 환인만족자치현대이수구 석관묘에 부장되어 있는 토기와 석기는 요동 북부 지역의 전기 청동기 문화인 마성자 문화(馬城子文化) 후기 단계 전엽의 유물과 유사하다. 이러한 점과 함께 요동 동부 지역에서 전형적인 마성자 문화 토기를 출토하는 유적이 많지 않다는 점, 동일 유물이라도 시간적으로 지체되었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대이수구 석관묘군을 기원전 12세기로 편년할 수 있고, 이를 대이수구 유형의 상한 연대로 잡을 수 있다. 하한은 기원전 4~3세기 대이수구 유형의 같은 분포권 내에 요동 동부 지역의 초기 철기 문화인 대전자 유형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아 기원전 5세기로 잡을 수 있다.
대이수구 유형은 청동기~철기 시대 요동 동부 지역의 물질 문화로 대전자 유형, 망강루 유형(望江樓類型), 초기 고구려 문화로 변동된다. 이들 물질 문화는 시간과 문화의 변화에 따라 묘제가 석관묘, 대석개묘, 적석묘, 적석총 등으로 변모되는 등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호(壺)와 발(鉢) 등에서 강한 계통적인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볼 때, 대이수구 유형은 고구려 문화의 먼 지역적·문화적 기반이었다고 할 수 있다. 대이수구 유형의 족속은 예맥계(濊貊系)로 인식되고 있는데, 고구려로 이어지는 요동 동부 지역 맥계 족속의 조상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