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赤山 山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요령성 영구시 개주시 만복진 귀자구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산성 |
|---|---|
| 크기 | 둘레 2,389m |
| 문물|보호단위등급 | 시급 문물 보호 단위 |
| 조성|건립 시기/일시 | 고구려 중기 이후 |
| 문물 지정 일시 | 1990년 9월 30일 |
| 현 소재지 | 요령성 영구시 개주시 만복진[나둔진] 귀자구촌40°05'24.7"N122°37'39.8"E |
요령성 영구시 개주시 만복진(萬福鎭) 귀자구촌(貴子溝村)에 위치한 고구려 산성.
적산 산성은 개주시 남부의 만복진[나둔진] 귀자구촌에서 동쪽으로 2.5㎞ 떨어진 적산 위에 위치한다. 적산의 명칭은 산의 바위가 대부분 적색에서 유래한 것이다. 적산은 해발 889m로, 영구 일대에서 높은 산 가운데 하나이다. 적산의 북쪽은 벽류하 상류의 지류와 접해 있고, 서쪽은 벽류하 상류의 간류와 약 10㎞ 떨어져 있다. 서쪽의 벽류하 좌안에는 305번 국도가 지나가는데, 남쪽의 대련 장하시에서 북쪽의 영구시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이다.
산성의 서북쪽으로 약 40㎞ 떨어진 지점에 개주성이 있으며, 영구시와는 약 75㎞ 가량 떨어져 있다.
적산 산성의 평면 형태는 불규칙한 장방형으로, 『중국 문물 지도집』에 따르면 전체 성벽의 둘레는 2,389m인 대형의 포곡식 산성이다. 반면, 『영구시 문물지』에는 3.5㎞로 기록되어 있다.
산세는 전체적으로 매우 험준한 편인데, 산세가 험한 북벽을 제외한 동·남·서벽에 석축 성벽이 있다. 반면 산성의 내부는 평탄한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적산 산성은 현재 개발이 중단된 상태라고 하나, 2000년대 후반에 적산 일대를 관광지로 개발하는 공사로 인해 유적이 많이 훼손되었다.
산성에는 5기의 산봉우리가 천연 장벽을 이루고 있는 북벽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만 석축 성벽이 축조되어 있다. 성벽은 쐐기형 돌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는데, 대체로 훼손이 심한 편이다. 동벽의 경우 바깥쪽 석축의 높이는 5~6m 가량이며, 너비는 약 3m이다.
문지는 동문과 서문이 있으며, 동문 남쪽에는 치[길이 9.3m, 너비 8n, 잔고 4.6m]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밖에도 남문을 별도로 확인하였다는 중국 측 보고도 있다.
성 내부에는 용담사라는 사찰과 함께 동남쪽에 용담이라는 저수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