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진가」[김좌진]

한자 勇進歌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노래
양식 선동 가요
작곡가 김좌진|미상
작사자 김좌진|미상
창작|발표 시기/일시 1920년대
특기 사항 시기/일시 미상
정의

독립군의 힘찬 투쟁과 조국 건설의 희망을 담은 노래.

개설

「용진가」라는 제목으로는 김좌진이 작사, 작곡한 것으로 알려진 것과 작자를 알 수 없이 전하고 있는 것이 있다. 작자 미상의 것은 여성 항일 투사인 김선(金善)이 자신의 수첩에 기록해 두었던 것과 화룡현(和龍縣)에서 이희영(李熙榮)이 가창한 것을 이황훈(李黃勛)이 기록한 것이 있다. 둘의 내용은 거의 같다.

작자 미상의 것이 「유격대 행진곡」[조선족 민간 문예 연구조 편, 『혁명의 노래』, 연변인민출판사, 1958], 「독립군 용진가」[조선 노동당 중앙 위원회 직속 당 역사 연구소 편, 『혁명 가요집』, 조선 노동당 출판사, 1959]로 제목이 바뀌었다고 하기도 하는데, 가사는 전혀 다르다.

내용

파도치는 애국의 기백으로 나아가자. 천하무적 우리 군대. [김좌진 작사]

영웅들이 만주 벌판을 엄숙히 나아간다. 두려움 없는 영웅의 돌격에 적들이 쓰러진다. 모든 적들을 쓰러버리고 삼천리 강산에 독립기 휘날리자. [작자 미상]

의의와 평가

일본 제국주의를 타도하고 민족 독립을 쟁취하자는 주제의 노래 중 가장 많이 알려진 노래다. 만주가 항일 무장 투쟁의 근거지였다는 점은 독립군에 대한 노래가 조선민족들 사이에서 널리 불리어 질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김좌진이 작사, 작곡한 「용진가」와 작자 미상의 「용진가」가 있다는 것은 무장 투쟁을 통한 조국 독립의 희망이 강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남호, 『중국 조선족 전통 음악 대중 음악론』(민속원, 2010)
  • 김창걸, 『20세기 중국 조선족 문학 사료 전집』제4권(중국 조선 민족 문화 예술 출판사, 2003)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항일 가요 및 기타』보고사, 2007
  • 석화, 「항일 혁명 가요의 역사적의 의와 현실적 가치에 대하여」(http://cafe.daum.net/seokhua)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