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생각」

한자 祖國 생각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항일 가요
양식 唱歌
작곡가 三善和氣|일본 군가인 「전우(戰友)』 차용
창작|발표 시기/일시 1914년
정의

만주에서 독립군 병사가 떠나온 조선에 대한 그리움과 광복의 희망을 부른 노래.

내용

조국을 잃고 여기까지 떠나왔지만 희망이 있다. 나라 없다 비웃지 말라 자유 회복할 날이 있으리라. 우리 청년 지진 되어 후지산을 무너뜨릴 것이다. 조국을 잃으면 천당도 지옥이니 분발하자.

의의와 평가

독립군 병사가 보초를 서며 부른 서정적인 항일 가요이다. 설 땅 없이 먼지처럼 떠도는 독립군 신세지만 조선을 해방시키겠다는 희망을 노래하고 있다. 이 노래가 실려있는 『창가집(唱歌集)』은 만주 조선인 학교인 광성 중학교가 그때까지 애창되던 창가를 수집하여 1914년에 발행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노래는 경술 국치 이후 1914년 사이에 만주에 독립군 부대가 있었던 것을 알게 한다. 가사 중 ‘자유 생활 끈허진지 사년이 발서 지나 갓도다’ 라는 구절로 보아 이 곡은 1914년에 창작된 것이다. 곡조는 일본 군가인 「전우(戰友)』의 것을 차용하였다.

참고문헌
  • 이시욱,「1960년대 만주 활극 연구 : 액션 영화의 활극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 예술 연구』(창간호), 한국 예술 종합 학교 한국 예술 연구소, 2010)
  • 국가 보훈처 편, 『(최신)창가집 附樂典』(국가 보훈처, 1996)
  • 민경찬, 「기획1 : '운동'과 노래-항일 혁명가에 침투한 일본 노래」(『역사 비평』 41, 역사 비평사, 1997)
  • 최순배, 「항일 운동기 창가의 연구 : 『최신 창가집』의 분석을 중심으로」(동국 대학교 석사 논문, 2001)
  • 김보희, 「북만주 지역의 獨立 運動 歌謠:-1910년대 민족주의 독립운동 가요를 중심으로」(『한국 음악 연구』 43, 한국 국악 학회, 2008)
  • 한국 독립운동사 정보 시스템(https://search.i815.or.kr)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