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야흥 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민요
토리 진경토리
기능구분 서정요
박자구조 6/8
가창자/시연자 한금옥
채록 시기/일시 미상
채록지 길림성 연길시
정의

남녀간의 애정 문제를 생동하는 선율로 노래하는 서정요.

채록/수집 상황

연길시(延吉市)에서 한금옥(韓金玉)이 가창한 것을 이황훈(李黃勛)이 기록하였다.

내용

봄날이 되어 화려하게 차려입고 숭어잡이를 간다. 어여쁜 아가씨는 날 돌아봐다오.

의의와 평가

「육자배기」와 함께 남부지방에서 가장 많이 보급된 「흥타령」의 변종이다. ‘흥’이라는 흥겨움을 나타내는 단어와 함께 ‘아이야’라는 감탄사가 함께 사용되어서 「아야흥 타령」이라고 한다. 남녀 간의 애정 문제를 흥겹고 낙천적인 선율로 노래하고 있다. 한민족이 갖고 있는 낙천적인 정서가 잘 드러나고 있으며, 남부지방의 민요가 연변으로 전해져 정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 김예풍, 『조선족 민요 연구』(박이정, 2006)
  • 김남호, 『중국 조선족 전통 음악 대중 음악론』(민속원, 2010)
  • 『조선족 민요 곡집』(연변 문학 예술 연구소, 198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