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타령」

한자 山打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전래 민요
토리 육자배기|메나리
기능구분 서정요
박자구조 3/4
형성 시기/일시 미상
정의

길림성연변 지역에 전래된, 산천의 풍경을 주제로 하는 황해도의 대표적인 민요.

채록/수집 상황

연길현(延吉縣)에서 가창자 미상의 것을 고자성(高子星)이 기록하였다.

내용

밤이 지나고 새벽이 된다. 다시 한낮이 되어 한 날이 된다. 꽃은 화려하게 피고, 잎은 푸르고 울창하다.

의의와 평가

황해도의 대표적인 민요인 선소리가 한인의 이주와 함께 연변 지역으로 전해져 정착한 노래이다. 선소리는 소리꾼들이 서서 부르는 것으로 경기도에서 발생한 것이다. 연변 지역으로 전해지며 다른 민요 가사와 혼합되어 현재의 모습이 된 것으로, 여러 지역의 가사와 장단이 섞여 만들어지는 한인 민요의 한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 김예풍, 『조선족 민요 연구』(박이정, 2006)
  • 김남호, 『중국 조선족 전통 음악 대중 음악론』(민속원, 2010)
  • 『조선족 민요 곡집』(연변 문학 예술 연구소, 198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