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 음식점

한자 朝鮮族 飮食店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조선족 특색 음식 판매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2년 9월 3일
정의

한인[조선족] 음식을 주로 만들거나 경영하는 음식점을 두루 이르는 말.

개설

한인[조선족] 음식점은 1952년 9월 3일 연변조선족자치주가 성립된 후 중국에서 '조선족'이라는 이름을 내걸거나 혹은 한인[조선족]들이 경영하는 음식점이 생기면서 생겨난 말이다.

분포

한인[조선족] 음식점은 연길시, 용정시를 비롯한 연변조선족자치주는 물론 흑룡강성, 요령성, 길림시, 장춘시 등 한인들이 집거했거나 산재한 지구들에서 처음 생겨났으며, 후에는 북경에도 들어섰다. 개혁개방 이후에는 중국의 상해, 광주, 위해, 청도, 심수를 비롯한 연해 도시들은 물론 서안, 장사, 장가계, 성도, 중경, 무한을 비롯한 내륙지구, 서장의 라싸, 신강의 우루무치 등 오지들에도 생겨났다.

또 러시아의 모스크바, 블라디보스토크, 미국의 뉴욕, 로스앤젤레스, 독일의 뮌헨, 프랑스의 파리, 영국의 런던 등 세계 각지에도 한인[조선족] 음식점들이 개업을 하기 시작하였다. 북한의 평양, 나선[나진, 선봉 지구]과 한국의 서울, 김포, 인천, 군포 등지에도 관련 음식점들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특히 50여 만 명의 한인[조선족]들이 거주하고 있는 한국에는 건국대, 가리봉, 대림, 안산 등지를 중심으로 조선족 음식점 거리가 생겨날 정도로 중국에서 온 한인[조선족]들의 음식점들이 대거 들어섰다. 최근 통계에 의하면 '조선족 음식점'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하는 음식점이 연길시 183개, 길림시 106개, 장춘시 38개, 북경시 9개, 목단강시 7개 등으로 나타난다.

음식 종류와 대표 음식점

한인[조선족] 음식점에서는 김치, 장국, 떡, 냉면, 순대 등을 비롯한 전통 음식은 물론 개고기, 쇠고기, 돼지 고기 등 육류와 갈치, 멸치, 명태 등 해산물과 타민족에게서 배운 불고기, 꼬치 구이 등이 두루 판매된다. 소주, 맥주, 양주, 포도주 등 각종 주류도 판매되고 있다. '조선족 개장집', '조선족 뀀점', '조선족 식당', '조선족 양꼬치' 등의 이름을 가진 음식점들은 모두 한인[조선족] 음식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밖에 '조선족 음식점'이라는 간판[朝鮮族飯店]을 내걸고 영업을 하는 한족들도 있어 조선족 음식점은 비교적 널리 알려지고 있다.

북경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소수민족 우대정책으로 '연길냉면'이 시내에 개점하였고, 1980년대 이후 유리창 서편에 심양식 카오뤄[烤肉, 불고기] 전문점이 문을 열었다. 이외 흑룡강성 계서시 계관구에 위치한 '조선족 냉면관', 대련시의 '조선족 음식점' 등이 대표적이다.

참고문헌
  • 「60년 역사를 자랑하는 북경 첫 조선족 냉면관」(http://www.bj.chinanews.com)
  • 「조선족 식당」(http://map.baidu.com)
  • 「계서 옥진 조선 대냉면」(http://www.yzjxdlm.com)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