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석하」

한자 磐石河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길림시 무송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동해 용왕|문어|매|우레신
모티프유형 문어의 횡포와 매의 응징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미상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6년
관련 지명 길림성 길림시 무송현
정의

길림성 길림시 무송현에서 ‘반석하의 명칭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한인 설화.

개설

「반석하」는 ‘반석하’의 명칭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용궁에서 쫓겨나 송화강에서 횡포를 부리던 문어와 맞서 싸우다 돌이 되어버린 매를 기리기 위해 “매산”으로 부르다가, 매 형상의 돌이 풍화되자 다시 “반석산”으로 고쳐 부른 것을 계기로 송화강을 “반석하”라고 불렀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리룡득[남, 1940년 안도현 명월진 출생, 민간 문학가]이 길림시 무송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오춘봉에게서 채록했다. 2006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길림성 길림시 무송현의 동남쪽으로 송화강의 한 지류가 흐르고 있다. 이를 흔히 ‘반석하’라고 한다. 옛날, 동해 용왕이 늘 빈둥거리는 문어에게 송화강의 입구를 잘 보살피라는 임무를 내렸다. 문어는 송화강에 내려와 입구를 보살피기는커녕 온갖 물고기를 잡아먹는가 하면 뗏목을 뒤집어놓곤 했다. 이 모습을 지켜보던 매는 더 이상 관망할 수 없어 문어를 쪼기 시작했다.

매는 49일 동안 문어를 쪼아 그 다리를 일제히 끊어 놓았다. 문어는 제 힘으로 매를 감당할 수 없다고 여겨 동해 용왕에게 ‘매가 군사를 몰아 용궁으로 곧 쳐들어올 것이다’고 거짓으로 고했다. 동해 용왕은 기겁을 하고 수백의 게 장수와 수천의 새우 병사들을 보냈으나 매를 당할 수 없었다. 동해 용왕은 우레신에게 매를 향해 번개를 내리쳐달라고 부탁했다. 우레신이 매에게 번개를 내리치자, 매는 번개를 맞고 두 날개를 잃었다.

하지만 송화강이 내려다보이는 산에서 꼼짝하지 않고 강을 주시했다. 그러다가 돌이 되고 말았다. 이후로 사람들은 그 산을 “매산”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돌이 풍화되어 반석이 되자, “반석산”이라고 바꾸어 불렀다. 그리고 반석산 아래의 강을 “반석하(磐石河)”라고 불렀다.

모티브 분석

「반석하」의 모티프는 ‘문어의 횡포와 매의 응징’이다. 압록강, 두만강, 송화강 인근에서 삶을 영위하던 한인들이 전승시킨 설화 중에는 ‘물신’이라고 하는 전혀 색다른 존재들이 등장한다. 거북이, 가재, 미꾸라지, 게, 잉어, 새우 등에 신격(神格)을 부여하여 때로는 선신으로 때로는 악신으로 풀어낸 것이다.

이 작품에서는 문어가 악신으로서 송화강의 물고기를 무분별하게 해치는가 하면, 인간들마저 수장시키고 있다. 또 게와 새우가 문어의 편에 서 있다. 반면 이러한 문어의 횡포를 매가 응징한다. 나아가 매는 문어를 응징한 후 후사를 염려해 강을 주시하다 돌로 변한다. 강과 인간을 수호하기 위해 자신을 온전히 희생한 것이다. 이 작품은 한인들이 새로운 터전에서 만들어낸 ‘물신'을 소재로 하여 반석산의 형성 유래를 설명하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리룡득,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연변인민출판사, 2006)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지명 전설집』(보고사,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