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길림시 화전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전설 |
|---|---|
| 주요등장인물 | 금우성|옥황상제|선녀 |
| 모티프유형 | 금우성의 천계 추방과 인간 세계 정착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미상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6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길림시 화전시 |
길림성 길림시 화전시에서 ‘금소골짜기의 지명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한인 설화.
리룡득[남, 1940년 안도현 명월진 출생, 민간 문학가]이 화전시 오금창향에 거주하고 있는 한 한인에게서 채록했다. 2006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전시 오금창향 동북쪽에 깊은 골짜기가 있다. 이를 흔히 ‘금소골짜기’라고 한다. 옛날, 옥황상제가 여러 신선들을 청해 연회를 베풀고자 했다. 이에 옥황상제는 선녀들에게 어화원에서 계화나무의 꽃을 꺾어 연회장을 곱게 꾸미라고 했다. 그때 금우성이 밭을 갈다가 계화나무 밑에서 엎드려 쉬고 있었다. 이에 선녀가 꽃을 꺾는데, 금우성이 꼬리를 젖히다가 그만 선녀의 치맛자락을 더럽혔다.
선녀는 옥황상제에게 금우성이 자신을 희롱했다고 거짓으로 고했다. 옥황상제는 대노하여 금우성을 인간세계로 추방했다. 금우성은 천지로 내려와 송화강을 따라 걸었다. 그리고 송화강의 지류인 위사하어구에 이르러 골짜기로 들어갔다. 골짜기에는 풀이 많아 살기에 적당했다. 금우성은 풀을 실컷 뜯어먹고, 몸체의 길이가 백 자로, 키가 오십 자로 컸다. 몸에서는 금빛이 났다. 또 금우성이 울어대는 영각 소리는 천지를 진동시켰다. 금우성은 가끔씩 황금똥을 누었다.
인근 사람들은 금우성의 똥을 취해 풍족하게 살 수 있었다. 이후로 사람들은 ‘금소가 울어대는 골짜기’라는 의미에서 금우성이 살았던 골짜기를 “금소골짜기”라고 불렀다.
「금우성」의 모티프는 ‘금우성의 천계 추방과 인간세계 정착’이다. 천계의 금우성이 인간세계로 내려와 정착하자, 인근 사람들은 금우성의 황금똥 덕에 평화롭게 살았다는 이야기이다. 이는 곧 금우성이 정착한 화전시 오금창향이 여느 지역보다 자연경관이 빼어날 뿐만 아니라, 물자가 풍부하여 마을 사람들이 비교적 풍족한 삶을 영위했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