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돌골」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형|동생|노인
모티프유형 아우의 선행과 발복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미상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6년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에서 ‘매돌골의 지명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한인 설화.

개설

「매돌골」은 ‘매돌골’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어느 총각이 욕심 많은 형으로부터 버림받고 방황하다가 우연히 한 골짜기에서 맷돌을 만드는 노인을 만나 그의 사위가 되었다는 데서 그 골짜기를 “매돌골”로 불렀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리룡득[남, 1940년 안도현 명월진 출생, 민간 문학가]이 안도현 석문진 차조촌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김수현에게서 채록했다. 2006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석문진 차조촌의 북쪽에 골짜기가 있는, 이를 흔히 ‘매돌골’이라고 한다. 옛날, 이씨 성을 가진 형제가 있었다. 그런데 형은 어려서부터 늘 좋은 것만 차지했다. 게다가 형 내외는 부모가 남긴 재산을 독차지하기 위해 동생을 죽이려 했다. 형은 동생에게 독이 든 송편을 보냈다. 동생은 그것이 아까워 먹지 못하고 숨겨두었다. 그런데 그것을 고양이가 훔쳐 먹고 죽었다. 동생은 형 내외가 자신을 죽이려 했음을 알고 고향을 떠났다.

동생이 한 골짜기에 다다랐을 때, 어느 노인이 지게에 숱한 돌을 지고 힘겹게 걷고 있었다. 동생은 노인의 지게를 대신 짊어졌다. 노인은 동생을 제 집으로 인도했다. 그리고 동생으로부터 그간의 사연을 들었다. 그러자 노인은 동생의 손을 잡고, 자신에게 외동딸이 있으니 사위로 삼고 싶다고 했다. 동생은 마다할 리 없었다. 동생은 아내와 함께 장인의 맷돌 제작업을 이어받았다. 이후로 그 골짜기에 맷돌을 사러 오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사람들은 그 골짜기를 “매돌골”이라고 불렀다.

모티브 분석

「매돌골」의 모티프는 ‘아우의 선행과 발복’이다. ‘착한 사람은 복을 받는다’는 설화의 전형적인 교훈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리룡득,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연변인민출판사, 2006)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지명 전설집』보고사,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