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롱재골」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잡화상 총각|처녀
모티프유형 잡화상과 처녀의 인연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미상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6년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에서 ‘홀롱재골의 지명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한인 설화.

개설

「홀롱재골」은 ‘홀롱재골’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이곳저곳을 돌며 잡화(雜貨)를 팔던 총각이 처녀와 인연을 맺었다는 골짜기를 “홀롱재골”로 불렀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여기서 “홀롱재”는 ‘잡화상’을 일컫는 함경도 사투리이다.

채록/수집 상황

리룡득[남, 1940년 안도현 명월진 출생, 민간 문학가]이 안도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 한인으로부터 채록했다. 2006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한 총각이 잡화 보따리를 짊어지고 옹성라자로 들어왔다. 총각은 연지, 곤지, 분, 빗 따위를 내어놓으며 사람들을 불러 모았다. 아이들과 아낙들이 삽시간에 모여들어 이것저것을 샀다. 그때 총각이 참빗이 하나 없어졌다며 분주히 찾았다. 모여든 사람들은 총각이 자신들을 의심하는 것 같아 괜스레 기분이 나빴다. 그러나 총각은 낯빛을 바꾸어 참빗을 찾았노라고 하고는 사과했다.

총각이 물건을 다 팔고 골짜기를 넘어가는데, 한 처녀가 총각에게 다가와 ‘참빗이 떨어져 있기에 무심결에 품에 넣었다’며 참빗을 건네고는 정중히 사과했다. 총각과 처녀는 이러한 인연으로 부부의 연을 맺었다. 이후로 사람들은 그들이 인연을 맺은 골짜기를 “홀롱재골”이라고 불렀다. “홀롱재”는 함경도 사투리로 ‘잡화상’을 일컫는 말이다.

모티프 분석

「홀롱재골」의 모티프는 ‘잡화상과 처녀의 인연’이다. “견물생심(見物生心)”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탐나는 물건을 보면 욕심이 생긴다는 인간의 본성을 이르는 말이다. 또한 그러한 본성을 제어해야 하는 것이 인간의 도리라는 것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이 작품에서 처녀는 잡화상이 떨어뜨린 참빗을 자신도 모르게 품에 넣었지만, 잡화상에게 달려가 용서를 구하며 참빗을 건넨다. 반면 잡화상은 참빗이 없어진 것을 애초에 알았지만, 그것을 훔친 누군가의 마음을 헤아리고 무던히 넘겼다. 마음 고운 두 사람의 만남과 결혼의 공간을 통해 지명의 유래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리룡득,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연변인민출판사, 2006)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지명 전설집』보고사,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