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출골」

한자 牛出골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시아버지|큰 며느리|작은 며느리
모티프유형 콩 한 되로 산 황소 한 마리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미상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6년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에서 ‘우출골의 지명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설화.

개설

「우출골」은 ‘우출골’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2년 만에 콩 한 되로 황소 한 마리를 사게 된 어느 며느리가 살던 골짜기가 “우출골(牛出谷)”로 불리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채록/수집 상황

리룡득[남, 1940년 안도현 명월진 출생, 민간 문학가]이 안도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 한인으로부터 채록했다. 2006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옹성라자 인근의 동쪽 골짜기에서 어느 노인이 두 아들을 데리고 열심히 농사를 지었다. 결과 팔간 기와집을 지을 수 있었다. 얼마 후, 노인은 두 아들을 장가보내고 동쪽과 남쪽으로 세간을 내주었다.

어느 이른 봄날, 노인은 두 며느리를 불러들였다. 그리고는 콩 한 되씩을 건네며 2년 뒤에 3백 냥에 해당하는 물건으로 갚으라고 했다. 두 며느리는 어쩔 수 없이 콩 한 되씩을 받아왔다. 그런데 동쪽의 작은며느리는 콩을 고르지 않고 아무 밭에나 심은 반면, 남쪽의 큰며느리는 콩을 잘 솎아 기름진 밭에 심었다.

큰며느리는 가을에 3백 되의 콩을 수확했다. 그리고 이듬해에는 3천 말의 콩을 수확했다. 큰며느리는 그 콩을 팔아 황소 한 마리를 사 시아버지에게 건넸다. 시아버지는 크게 반겨하며 집안 살림을 큰며느리에게 모두 맡겼다. 이후로 사람들은 ‘동쪽 골짜기에서 황소를 냈다’는 의미에서 그 골짜기를 “우출골(牛出谷)”이라고 불렀다.

모티프 분석

「우출골」의 모티프는 ‘콩 한 되로 산 황소 한 마리’이다. 농경사회에서 소는 인간의 생명만큼이나 소중한 존재로 여겨졌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 큰며느리가 시아버지가 건넨 콩 한 되를 2년 간 큰돈으로 불려 소를 산다. 절약의 중요성, 나아가 경제관념의 중요성을 전달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리룡득,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연변인민출판사, 2006)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지명 전설집』보고사,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