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男妹江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남매 |
| 모티프유형 | 남매의 우애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미상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6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에서 ‘남매강의 명칭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한인 설화.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를 관통하며 북으로 흐르는 목단강의 상류를 흔히 ‘남매강’이라고 한다. 옛날, 목단강 상류 인근의 작은 마을에 한 남매가 살았다. 남매는 남달리 우애가 돈독했다.
어느 날, 남매가 강을 건너려 할 때 강기슭에서 주먹만 한 크기의 금덩이를 발견했다. 오라비는 ‘금덩이로 동생의 혼례를 잘 치를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반면 동생은 ‘금덩이로 오빠의 삶이 더욱 윤택해질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이에 서로 가지라며 옥신각신했다. 결국 남매는 금덩이 때문에 의가 상할까 두려워 금덩이를 원래 있었던 장소에 갖다 놓자고 결정했다.
그런데 그 장소에 다시 가보니 같은 크기의 금덩이가 또 있었다. 오누이는 각기 하나씩 나누어 가질 수 있었다. 이후로 사람들은 ‘의좋은 남매’를 기리기 위해 그 강을 “남매강”이라고 불렀다.
「남매강」의 모티프는 ‘남매의 우애’이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의 좋은 형제”라는 설화가 있다. 이 작품은 “의 좋은 형제”의 동북 한인 판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이야기 구조가 같다. 다만 의좋은 남매를 위해 하늘이 금덩이를 한 개 더 내려주었다는 것이 다르다. 남매의 우애가 하늘마저 감동시켰다는 것인데, 새로운 땅에서 이민족과 더불어 살아야 했던 한인들이 ‘자기 동질성 강화’를 위해 덧붙힌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