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재강」

한자 물가재江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손량|장량
모티프유형 백두산 강기슭의 가재와 심마니의 죽음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7년 여름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6년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에서 ‘물가재강의 명칭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한인 설화.

개설

「물가재강」은 ‘물가재강’의 명칭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심마니가 백두산 수림의 작은 강기슭에서 가재를 잡아먹고 정신을 차렸다는 데서 그 강을 “물가재강”으로 불렀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리룡득[남, 1940년 안도현 명월진 출생, 민간 문학가]이 1987년 여름에 안도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 한인에게서 채록했다. 2006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산동 래양현에서 ‘손량’과 ‘장량’이라는 친구가 백두산으로 산삼을 캐러 왔다. 이들은 합심하여 수십 년 묵은 산삼 다섯 뿌리를 캤다. 손량은 장량이 궁핍한 것을 알고 그에게 세 뿌리를 건네고 자신이 두 뿌리를 가지려 했다. 그런데 더욱 깊은 수림으로 들어간 장량이 밤이 늦도록 돌아오지 않았다.

손량은 깊은 밤이었지만 장량을 찾아 수림으로 들어갔다. 손량이 장량을 한참 찾아 해매다 힘에 겨워 작은 강기슭의 돌 밑에서 가재 한 마리를 잡아먹었다. 그랬더니 정성이 벌컥 났다. 이에 너른 바위에 “집이 래양에 있는 손량 / 천리길 걸어 삼 캐러 왔어라 / 하지만 동생을 잃어 찾던 중 / 이곳에 이르러 가재 한 마리 먹었더라 / 동생을 못 찾고야 어이 그만 두리”라는 시를 적었다. 그리고는 이내 숨을 거두었다.

사람들은 손량의 동생 아끼는 마음을 기려 손량을 백두산의 산신으로 섬겼다. 특히 백두산의 심마니들은 산삼을 캐러 수림으로 들어갈 때 으레 손량이 죽은 곳에 들러 예를 올렸다. 그리고 손량을 기리기 위해 강을 “물가재강”이라고 불렀다.

모티프 분석

「물가재강」의 모티프는 ‘백두산 강기슭의 가재와 심마니의 죽음’이다. 설화 속에서 백두산은 인간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심성을 갖추고 있으면 그에게 어떤 신비스러운 힘을 부여한다.

이 작품에서는 사라진 친구를 찾다 기운을 잃은 심마니가 가재 한 마리를 먹고 정신을 차리고는 친구를 찾는 애절한 시를 남기고 스러진다. 가재 한 마리를 먹고 정신을 차렸겠는가만, 전승자들은 백두산의 신령스러운 기운이 분명 감응했을거라는 믿음으로 설화를 만들어냈을 것이며, 또 그러한 믿음으로 백두산의 숱한 심마니들이 그의 무덤에 예를 올렸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리룡득,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연변인민출판사, 2006)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지명 전설집』보고사,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