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끝바위」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조성|장조|신선 노인
모티프유형 노인이 선물한 붓과 장원급제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73년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6년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에서 ‘붓끝 바위의 명칭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한인 설화.

개설

「붓끝바위」는 ‘붓끝바위’의 명칭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자 암석 전설(巖石傳說)이다. 신선으로부터 받은 신령한 붓을 이용해 과거에 급제했지만, 안하무인격으로 행동하다가 먹물에 빠져 붓끝 형태의 돌이 되었다는 데서 그 바위를 “붓끝 바위”로 불렀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리룡득[남, 1940년 안도현 명월진 출생, 민간 문학가])이 1973년에 안도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서영찬과 서영식에게서 채록했다. 2006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유수천 마을 인근의 부르하통하 기슭에 붓끝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 이를 흔히 ‘붓끝 바위’라고 한다. 옛날, 이곳에 과거만 치렀다 하면 낙방하는 ‘조성’과 ‘장조’라는 두 친구가 있었다. 두 친구는 낮에는 땔감을 마련하여 장에 내다 팔고, 밤에는 글공부를 했다.

어느 날, 남루한 옷을 걸친 절름발이 노인이 장조한테 구걸을 했다. 장조는 노인을 박대했다. 노인은 조성한테 구걸을 했다. 조성은 자신이 먹을거리를 기꺼이 노인에게 주었다. 며칠 후 노인이 조성에게 나타나 붓 한 자루를 건네며, ‘이 붓으로 과거를 치르면 답안을 술술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 조성은 장조에게 노인의 말을 알리며 붓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장조는 믿지 않았다.

과거시험을 치르는 날, 조성은 노인이 건넨 붓으로 답안을 작성했으나 낙방했다. 그러나 장조는 장원급제를 했다. 붓의 효험이 장조에게 전이된 것이었다. 장조는 어느 고을의 현령으로 부임하며 고향 마을을 들렀다. 조성은 장조를 반가이 맞이했으나, 장조는 조성을 본체만체 했다. 이때 노인이 나타나 주문을 외자, 하늘로부터 먹물이 쏟아져 장조가 빠져죽고 말았다. 그리고 먹물 위로 가느다란 바위가 솟아 나왔다. 이후로 사람들은 그 바위를 ‘붓끝바위’라고 불렀다.

모티프 분석

「붓끝바위」의 모티프는 ‘노인이 선물한 붓과 장원급제’이다. 1950년대 후반부터 한인 설화의 채록, 정리 사업을 활발히 전개했다. 그런데 설화의 채록, 정리자들은 대부분 공산당의 문예 일꾼으로서 사명감을 갖고 관리와 백성, 지주와 소작인, 착한 자와 악한 자 등의 대립구도가 선명한 설화를 선별하여 채록했다.

이 작품에서도 어느 신선에게서 '조성'이 건네받은 신비한 붓의 효험이 '장조'에게 전이되어, 결국 장조가 장원 급제했지만 조성을 외면한 죄로 먹물에 빠져 죽음을 맞이한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리룡득,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연변인민출판사, 2006)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지명 전설집』보고사,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