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각부인골」

한자 總角婦人골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아내|남편|포수|호랑이
모티프유형 아내와 포수의 인연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미상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6년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에서 ‘총각부인골의 지명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한인 설화.

개설

「총각부인골」은 ‘총각부인골’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어느 부녀자가 호환(虎患)으로부터 자신을 버린 남편과 이별하고, 자신을 구한 포수 총각과 골짜기에서 함께 살았다는 데서 그 골짜기를 “총각부인골”로 불렀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리룡득[남, 1940년 안도현 명월진 출생, 민간 문학가]이 안도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 한인에게서 채록했다. 2006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동북 조선 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1940년 말, ‘백두산 아래 첫마을’이라고 하는 이도백하에 젊은 부부가 살았다. 어느 하루, 부부는 잣을 따러 깊은 산속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불시에 집체만한 호랑이가 부부에게 덮쳐들려 했다. 아내는 떨며 남편을 찾았다. 그러나 남편은 온데 간데 보이지 않았다. 나무 위로 쏜살 같이 올라간 것이었다. 아내는 ‘이제 죽는구나’며 눈을 감았다. 그때 한 방의 총성이 울렸다. 그러더니 호랑이가 풀썩 쓰러졌다.

얼마 후 포수가 달려와 아내를 부축했다. 그제야 남편이 나무에서 내려와 아내를 위로했다. 그러나 아내는 이미 마음속에서 남편을 지워버렸다. 아내는 남편과 그 자리에서 이별하고 친정으로 향했다. 그러나 산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 쓰러졌다. 정신을 차려보니 포수가 자신의 옆에서 간호를 하고 있었다. 아내는 포수가 총각인지라 염치없는 줄 잘 알면서도 함께 살 것을 청했다. 포수도 아내를 순순히 받아들였다. 이후로 사람들은 ‘총각 포수와 이혼녀가 함께 살았다’는 의미에서 그들이 살던 골짜기를 “총각부인골”이라고 불렀다.

모티프 분석

「총각부인골」의 모티프는 ‘아내와 포수의 인연’이다. 오늘날에야 이혼과 재혼이 성행한다지만, 1940년대 당시만 해도 이혼과 재혼은 일종의 금기였다. 더욱이 이혼녀와 총각의 결혼은 '신기한 사건'에 가까울 정도로 흔치 않았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 이혼녀와 총각이 결혼하여 삶을 영위한다.

사람들은 그들이 사는 골짜기를 '총각과 부인[이혼녀]이 사는 골짜기'라는 뜻에서 "총각부인골"로 명명한다. 당시 이혼녀와 총각의 결혼을 얼마나 충격으로 받아들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리룡득,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연변인민출판사, 2006)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지명 전설집』보고사,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