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埋鹽村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항일 유격대원|사냥꾼 영감 |
| 모티프유형 | 항일 유격대의 활동과 일본 토벌대 밀정자의 독약 섞은 소금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4년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6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에서 ‘매염촌의 지명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한인 설화
리룡득[남, 1940년 안도현 명월진 출생, 민간 문학가]이 1984년에 안도현 사문자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채만규에게서 채록했다. 2006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에 안도현 사문자 마을에 항일 유격 대원 20여 명의 동지들이 살았다. 어느 날, 족제비 사냥을 나왔던 한 영감이 허기가 져 마을에 들렀다. 이때 한 동지가 영감에게 음식을 내어주며, ‘일제의 봉쇄 때문에 소금이 귀해 음식이 싱거울 것이다’며 양해를 구했다. 영감은 식사를 마치고 이곳저곳을 돌며 동지들을 위로했다.
며칠 후 영감이 청년으로 하여금 소금 한 짐을 짊어지게 하고 마을에 들렀다. 영감은 빚을 갚기 위해 소금 한 짐을 가져왔다고 했다. 그러나 항일 유격대장은 금보다 귀한 소금을 아무런 제지 없이 가져왔다는 것이 미덥지 못했다. 하여 주먹밥에 소금을 묻혀 개에게 먼저 먹였다. 그러자 개가 금세 쓰러졌다. 영감은 송강현성에 있는 항일 유격대 토벌부대의 밀정인데 사냥꾼으로 가장하여 사문자의 사정을 염탐했던 것이었다.
동지들은 영감과 청년을 잡아 죽이고, 그들이 가져온 소금을 땅에 묻었다. 이후로 사람들은 ‘소금을 묻었다’는 의미에서 마을 이름을 “매염촌(埋鹽村)”이라고 불렀다.
「매염촌」의 모티프는 ‘항일 유격대의 활동과 일본 토벌대 밀정자의 독약 섞은 소금’이다. 항일 유격대는 비정규 무장 단체로 적의 통치구역과 점령구역, 인접 지역에서 분산, 유동, 습격이라는 방식으로 적을 공격했다. 또한 유격전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소규모로 전열을 짜고, 고도의 이동성·기민성·신속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에 반해 일제는 일본 토벌군을 운영했는데, 일본 토벌군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항일 유격 대원들을 제거하려 했으며, 이 과정에서 민간인마저도 학살했다.
이 작품에서 일본 토벌군 밀정이 사냥꾼으로 가장해 항일 유격 대원들에게 독약을 섞은 소금을 건네어 독살하려고 하고 있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항일 유격대원들을 제거하고자 했던 일본군의 악랄한 수법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