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산둔」

한자 개미산屯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지명 설화
주요등장인물 산신|마을 사람들
모티프유형 마을 사람들이 불개미를 먹고 기력을 회복하는 것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6년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안도현(安圖縣)에서 ‘개미산둔의 지명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한인 설화.

개설

「개미산둔」은 ‘개미산둔’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마을 사람들이 뒷산의 불개미를 약으로 달여 먹고 기력을 회복했다는 데서 마을을 “개미산둔”으로 불렀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이용득[남, 1940년 안도현 명월진 출생, 민간 문학가]이 안도현 만보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김응팔에게서 채록했다. 2006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만보진 태평촌에는 작은 산간 마을이 있다. 1910년대 초기, 조선의 농부들이 이곳으로 이주하여 20여 호의 마을을 이루었다. 그런데 정착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시름시름 앓았다. 그렇다고 의사에게 처방을 받는다거나 약을 먹는다거나 하는 것은 생각할 수 없었다. 이에 마을 사람들은 술을 빚고 돼지를 잡아 산신제(山神祭)를 올렸다. 산신제를 마치고 내려오자, 어느 노승이 지나다가 마을 사람들에게 냉수 한 사발을 청했다.

마을 사람들은 노승을 청해 음식을 대접했다. 노승이 때 아닌 때에 산신제를 올린 연유를 묻자, 마을 사람들이 그간의 사정을 소상히 일렀다. 그러자 노승이 마을 뒷산에 있는 불개미를 잡아다가 끓는 물에 데쳤다가 말려 가루를 내어 먹거나 술을 담가 마시면 기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마을 사람들은 반신반의하며 노승의 말을 따랐다. 그랬더니 누구나 기력을 회복할 수 있었다. 이후로 사람들은 ‘개미가 많이 사는 산간 마을’이라는 의미에서 마을을 “개미산둔”이라고 불렀다.

모티프 분석

「개미산둔」의 모티프는 ‘마을 사람들이 불개미를 먹고 기력을 회복하는 것’이다. 북한의 『동의학 사전(東醫學事典)』에는 불개미를 '홍의(紅蟻)'라고 하여 진통 작용과 항히스타민 작용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불개미를 햇볕에 말렸다가 볶아 가루를 낸 것을 '홍의산(紅蟻散)'이라고 하여 양기, 신경 쇠약, 관절염, 폐 기능 등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도 마을 사람들이 산신의 조언으로 불개미를 잡아 기력을 회복하고 있다. 마을의 절대적인 수호자가 산신인 바, 민간 요법을 통해 획득한 지식을 산신이 전수한 것으로 각색하여 불개미의 효능에 대한 믿음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이용득,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연변인민출판사, 2006)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지명 전설집』보고사,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