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瓮聲砬子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용쇠|뱀요괴|백발 노인 |
| 모티프유형 | 뱀요괴의 요술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미상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6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명월진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안도현(安圖縣)에서 ‘옹성라자(瓮聲砬子)의 지명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한인 설화.
「옹성라자」는 ‘옹성라자’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마을을 침해하던 뱀요괴의 머리를 펄펄 끓는 항아리에 처넣자 “웅~ 웅~”하는 소리가 났다는 의미에서 마을을 '옹성라자'로 불렀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용득[남, 1940년 안도현 명월진 출생, 민간 문학가]이 안도현 명월진 옹성라자촌에 거주하고 있는 한 한인에게서 채록했다. 2006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옛날, 현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명월진 소재지에 땅 좋고 물 맑은 마을이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평화롭게 살았다. 그런데 느닷없이 뱀요괴가 나타나 홍수를 일으켜 농작물을 휩쓸었다. 심지어 명월진 북쪽 기슭에 터를 잡고 살아가던 어린 용쇠의 부모도 물고 갔다. 용쇠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어느덧 어엿한 청년으로 성장했다. 용쇠는 뱀요괴를 처단하고자 주변 청년들을 모아 칼을 갈았다.
그러던 어느 날, 부르하통하가 두 길로 갈라지더니 뱀요괴가 모습을 드러내고 울어댔다. 용쇠와 청년들을 활을 당겼다. 그리고 용쇠는 칼로 뱀요괴의 목을 베었다. 그러나 뱀요괴의 목은 떨어졌다가도 다시 제 몸뚱이에 붙었다. 이때 백발노인이 나타나, ‘뱀요괴를 처단하려면 그 목을 펄펄 끓는 항아리에 담아야 한다’고 했다.
용쇠는 청년들과 함께 항아리를 마련하고 불을 지폈다. 그리고 뱀요괴의 머리를 잘라 항아리에 처넣었다. 그러자 항아리 속에서 “웅~ 웅~”하며 뱀요괴 소리가 울렸다. 이후로 사람들은 ‘항아리에서 뱀요괴 소리가 났다’는 의미에서 마을 이름을 '옹성라자'라고 불렀다.
「옹성라자」의 모티프는 ‘뱀요괴의 요술’이다. 한민족은 농경사회를 거치면서 용을 강우(降雨)를 조절하는 존재로 여기는가 하면, 뱃사람들도 뱃길의 무사안녕을 관장하는 존재로 여겨 온갖 제의의 대상으로 숭앙했다. 그런데 설화 속에서는 용과 흡사한 형태의 뱀이나 지네가 악신으로 등장하여 홍수나 가뭄을 일으켜 인간을 괴롭힌다.
이 작품에서도 뱀요괴가 등장하여 홍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물론 악신이기 때문에 용쇠와 마을 청년들이 백발노인의 조력을 얻어 뱀요괴를 응징한다. 자연에 대항하려는 인간의 모습이 아니라, 자연에 순응하려는 인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