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淸凉샘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량총각|청처녀|장지주 |
| 모티프유형 | 청과 량의 죽음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미상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6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양병진 봉림동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에서 ‘청량샘의 지명 유래’와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한인 설화.
리룡득(남, 1940년 안도현 명월진 출생, 민간문학가)이 안도현 양병진에 거주하고 있는 한 한인에게서 채록했다. 2006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동북 조선족 거주 지역 지명 전설』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양병진 봉림동에는 ‘청량샘’이라는 샘이 있다. 옛날에 ‘량’이라는 총각과 ‘청’이라는 처녀가 장지주 집에서 머슴과 시녀로 살았다. 두 사람은 일찍이 부모를 여의었기에 서로를 위했다. 그러다가 장성하여 사랑하는 사이로 발전했다. 그런데 장지주는 한창 물이 오른 량이를 호시탐탐 노렸다. 겁탈을 한 후 빚을 핑계로 첩으로 맞아들일 속셈이었다.
어느 날, 량이가 산나물을 뜯으러 숲으로 향했다. 장지주는 량이의 뒤를 밟아 이윽고 겁탈하려 했다. 그때 청이가 나타나 장지주로부터 량이를 구했다. 장지주는 눈엣가시 같은 청이를 죽여야 자신의 욕정을 채울 수 있겠다고 여겼다. 이에 장정들을 몰고 와 청이를 죽였다. 량이는 망연자실했다. 그리고 장지주가 음흉한 미소를 띠며 자신을 향해 오자 절벽 아래로 몸을 던졌다.
장지주가 그곳으로 가보니 량이의 시신은 없고 대신 움푹한 구덩이만 파여 있었다. 그런데 그때 일진광풍이 휘몰아 쳐 장지주의 몸을 날려버렸다. 장지주는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이후 그 구덩이에서 맑은 물이 솟아났다. 사람들은 ‘청이와 량이의 못다 이룬 사랑’을 기리고자 그 샘을 “청량샘”이라고 불렀다.
「청럄샘」의 모티프는 ‘청과 량의 죽음’이다. 1950년대 후반부터 한인 설화의 채록, 정리사업을 활발히 전개했다. 그런데 설화의 채록, 정리자들은 대부분 공산당의 문예일꾼으로서 사명감을 갖고 관리와 백성, 지주와 소작인, 착한 자와 악한 자 등의 대립구도가 선명한 설화를 선별하여 채록했다.
이 작품도 '청과 량'이라는 착취자[악인]와 '지주 장씨'라는 피착취자[선인]의 대립구도가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그런데 선인(善人)으로서 피착취자는 언제 어디서든 위급한 상황에서 조력자의 도움으로 위기를 극복하지만, 이 작품에서 청과 량은 끝내 목숨을 잃고 만다. 그러나 장지주는 일진광풍이 불어 흔적 없이 사라지고 말지만, 청과 량은 샘물로 화하여 새 생명을 잇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