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야사 |
|---|---|
| 주요등장인물 | 청년 혁명가|노인 내외 |
| 모티프유형 | 청년 혁명가의 피신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7년 |
| 관련 지명 | 북한양강도와 중국길림성의 경계에 위치한 산(백두산) |
정길운[중국 민간 문예가 협회 연변 분회 주석 역임]이 ‘어느 노인 내외의 청년 혁명가 구명(求命)’을 채록한 한인 야사.
「어머니의 마음」은 일제 강점기 때 위기에 닥친 청년 혁명가를 한 노인 내외가 어미의 마음으로써 구한다는 내용의 야사(野史)이다. 어머니의 눈에는 청년 혁명가나 일본 앞잡이나 다 똑같은 아들들이라는 것이 작품의 근간에 자리 잡고 있다.
정길운[남, 1919~1991, 충청북도 영동군 출생, 1943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 중국 민간 문예가 협회 연변 분회 주석 역임] 채록한 자료로 한인의 구비 설화집인 『백일홍』[연변인민출판사, 1979]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7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정길운·김례삼 채록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7]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백두산 준령이 뻗어 내린 어느 산골에 화전민들이 흩어져 살았다. 그 중 가장 높은 곳에 늙은 내외와 과년한 외동딸이 살았다. 어느 해, 웬 낯선 청년들이 하룻밤 묵기를 청했다. 나쁜 사람들 같지 않았기에, 늙은 내외는 청년들을 맞아들여 따뜻한 밥을 지어주었다. 청년들은 다음 날 일찍 길을 떠났다.
얼마 후 청년들이 다시 찾아왔다. 늙은 내외는 한결같이 청년들을 대접했다. 청년들은 마음을 열고 자신들은 혁명가라며, 일제와 악덕 지주에 맞서 싸운다고 했다. 늙은 내외는 세상 돌아가는 것을 몰랐기에 그저 듣기만 할 뿐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청년이 피로에 지쳐 늙은 내외를 찾았다. 내외는 이부자리를 펴 청년을 눕혔다. 얼마 후, 왜놈 앞잡이로 보이는 청년들이 들이닥쳤다. 내외는 태연하게 왜놈 앞잡이들을 대했다. 더욱이 어서 들어와 밥이나 먹고 가라 청했다. 그러면서 안방에 누워있는 청년더러 손님이 오셨으니 어서 일어나 인사하라고 했다. 청년은 외동딸과 함께 안방에서 나와 인사를 했다. 내외는 왜놈 앞잡이들에게 사위와 딸이라 소개했다. 왜놈 앞잡이들은 허탕을 치고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어머니의 마음」의 모티브는 ‘청년 혁명가의 피신’이다. 1930년대, 중국 공산당의 지도 아래 만주지역의 모든 항일무장운동 세력들이 통합하여 동북 항일 연군(東北抗日聯軍)을 결성한다. 반면 일제는 중국을 침략하기 위해 창설한 육국 부대인 관동군(關東軍)으로써 항일 연군을 탄압한다.
내용 서술이 구체적이지 않아 정확하지는 않지만, 이 작품에 등장하는 한 청년을 항일 연군으로, 왜놈 앞잡이들을 관동군으로 상정할 수 있을 듯하다. 그런데 이 작품을 통해 세상 모든 어머니의 눈에는 항일 연군이나 관동군이 모두 제 자식으로 여겨진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국가의 정치적 노선에 따라 서로에게 총부리를 겨누어야 했던 젊은 청춘들의 모습을 모성을 통해 더욱 안타깝게 그려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