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형제」

한자 六兄弟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몸이 잰 규수|대장장이 총각|신관사또
모티프유형 육형제의 신이한 능력과 신관사또의 횡포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년
정의

정길운[민간 문예가 협회 연변 분회 주석 역임]이 ‘6형제의 신이한 능력’을 채록한 한인 설화.

개설

「육형제」는 제각기 신이한 능력을 갖고 태어난 6형제가 신관 사또의 횡포를 슬기롭게 막아낸다는 것을 설명하는 민담(民譚)이다. 신관 사또의 횡포에 맞서 6형제가 제 능력을 발휘해 위기를 극복한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정길운[남, 1919~1991, 충청북도 영동군 출생, 1943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 중국 민간 문예가 협회 연변 분회 주석 역임]이 채록한 자료로 한인의 구비 설화집인 『백일홍』[연변인민출판사, 1979]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7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정길운·김례삼 채록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7]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어느 마을에 몸이 잰 규수가 살았다. 찬을 마련하는 것이든, 길쌈을 하는 것이든 날램과 솜씨를 따를 사람이 없었다. 주변에서는 누구나 규수를 며느리로 맞이하려고 했다. 그럴 때마다 규수는 고개만 절래 흔들었다. 규수는 출중한 낭군을 바랐다. 그러나 그런 낭군을 좀체 만날 수가 없었다. 규수는 직접 낭군을 만나겠다는 심산으로 길을 떠났다.

얼마 후, 규수가 고갯마루에서 잠시 쉬고 있는데, 그 옆에 웬 총각이 와서 쉬었다. 총각이 보아하니, 예전에 청혼을 넣었지만 퇴짜를 놓은 규수였다. 두 사람이 실랑이를 벌이다가, 그만 규수가 낭떠러지로 떨어지고 말았다. 그때 멀리서 대장간 일을 하던 총각이 여인이 낭떠러지에서 떨어지는 것을 보고 급히 달려와 감싸 안았다. 규수는 정신을 차린 후, 자신을 구한 총각이 하늘이 정한 낭군임을 직감했다.

규수는 대장장이 총각과 혼례를 치렀다. 그리고 아들을 낳았는데 어찌나 총명한지 이름을 ‘천문지덕’이라고 지었다. 얼마 후 둘째를 낳았는데 또 어찌나 손재주가 뛰어난지 이름을 ‘딸깍열쇠’라고 지었다. 이어 셋째를 ‘베도 돋음이니’라고, 넷째를 ‘더워도 차가우니’라고, 다섯째를 ‘깊어도 얕으니’라고, 여섯째를 ‘무거워도 가벼우니’라고 이름을 지었다. 그런데 신관 사또가 부임하여 백성들을 괴롭혔다.

대장장이는 사소한 빌미로 사또에게 붙들려갔다. 꼼짝없이 죽을 운명이었다. 그러나 ‘천문지덕’이 꾀를 내어 ‘딸깍열쇠’에게 아버지를 탈옥시키게 했다. 그리고 사또가 대노하여 목을 벨 때는 ‘베도 돋음이니’를, 화형을 시킬 때는 ‘더워도 차가우니’를, 수장시킬 때는 ‘깊어도 얕으니’를, 압사시킬 때는 ‘무거워도 가벼우니’를 보냈다. 사또는 대장장이 가족이 범상치 않음을 알고 그제야 포기했다.

모티프 분석

「육형제」의 모티브는 ‘육형제의 신이한 능력과 신관 사또의 횡포’이다. 어느 누구보다 부지런한 ‘몸이 잰 규수’와 ‘대장장이 총각’이 만나 신이한 능력을 가진 6형제를 낳는다. 그리고 이들이 신관 사또의 횡포를 막아낸다. 한인 설화는 통치 계급에 대한 투쟁과 승리를 기반으로 한 인민성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 작품에서도 그러한 특성이 발현되고 있다. 다만 부지런하게 살아야 하늘이 통치 계급의 횡포를 막아낼 능력을 부여한다는 교훈적 제약을 덧붙이고 있다.

참고문헌
  • 『정길운·김례삼 채록 민담집』(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2007)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황구연 민담집』보고사, 2007
  • 정길운, 『백일홍』(연변인민출판사, 197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