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란강」

한자 海蘭江 2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해(청년)|란(처녀)
모티프유형 악마의 마을 침해|해와 란의 악마 처단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년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정의

정길운[민간 문예가 협회 연변 분회 주석 역임]이 ‘해란강의 지명 유래’를 채록한 한인 설화.

개설

「해란강」은 ‘해란강’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마을을 위협하던 강의 악마를 ‘해’라는 청년과 ‘란’이라는 처녀가 물리치자, 이를 기리기 위하여 강의 이름을 ‘해란강’으로 명명했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정길운[남, 1919~1991, 충청북도 영동군 출생, 1943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 중국 민간 문예가 협회 연변 분회 주석 역임]이 채록한 자료로 한인[조선족]의 구비설화집인 『백일홍』[연변인민출판사, 1979]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7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정길운·김례삼 채록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7]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용드레촌(현 용정시)에서 서남쪽으로 올라가면, 강을 사이에 두고 오른쪽에는 비암산이, 왼쪽에는 주암산이 펼쳐져 있다. 옛날, 비암산과 주암산 기슭에 두 마을이 있었다. 비암산 기슭의 마을에는 ‘란(蘭)’이라는 처녀가, 주암산 기슭의 마을에는 ‘해(海)’라는 총각이 살았다. 두 사람은 정이 두터웠다.

어느 해 가을, 두 마을 사람들이 수확한 곡식을 산처럼 쌓아놓았다. 또 강가에는 잡은 고기를 널어놓았다. 그런데 갑자기 먹구름이 끼면서 웬 악마가 나타났다. 악마는 곡식이며, 고기며, 처녀들을 거두어 갔다. 이러한 일이 몇 해를 두고 거듭되었다. 이 과정에서 ‘란’도 악마에게 붙잡혀 갔다. ‘해’는 사람들을 모아 악마를 처단하려 무예를 닦았다. 이윽고 악마가 다시 나타나자 ‘해’는 악마를 향해 장검을 휘둘렀다.

그렇게 반나절 이상이 지나 ‘해’는 악마의 머리를 벨 수 있었다. 그러나 악마의 머리는 떨어졌다가도 다시 붙어버렸다. ‘해’는 다시 기운을 내어 악마의 머리를 베었다. 이때 ‘란’이 악마의 소굴로부터 뛰쳐나와 한 움큼의 재를 악마의 머리에 뿌렸다. 그제야 악마의 머리가 몸통과 분리되었다. 마을 사람들은 일제히 몰려들어 악마의 시체를 강에 밀어 넣었다. 얼마 후 마을 사람들의 축복 속에서 ‘해’와 ‘란’은 혼례를 치렀다. 이때부터 강을 ‘해’와 ‘란’의 이름을 따서 “해란강”으로 불렀다.

모티프 분석

「해란강」의 모티브는 ‘악마의 마을 침해’와 ‘해와 란의 악마 처단’이다. 두만강, 압록강, 송화강을 배경으로 삼고 있는 한인 설화에서 더러 우리에게 낯선 신격(神格)을 확인할 수 있다. 거북이신, 가재신, 미꾸라지신 등 이른바 ‘물신’이라는 존재들이다.

이들은 대체적으로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인간을 수호한다. 반면 게신, 잉어신 등은 일종의 악마로서 인간을 침해한다. 그런데 해란강두만강의 지류인 바, 이 작품에서도 강의 악마가 등장하여 인간을 침해한다. 그러나 ‘해’와 ‘란’은 굳센 의지로 강의 악마를 처단하고 결혼한다. 악마를 처단한 두 젊은 남녀의 결합은 곧 해란강의 왕성한 생생력(生生力)을 표출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정길운·김례삼 채록 민담집』(연변대학 조선문학연구소, 2007)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황구연 민담집』보고사, 2007
  • 정길운, 『백일홍』(연변인민출판사, 197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