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善良한 바위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바위|바위의 아내|용왕|신관 사또 |
| 모티프유형 | 바위의 잉어 구명과 용왕의 보답|바위 아내의 도술과 신관 사또 응징’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7년 |
정길운[민간 문예가 협회 연변 분회 주석 역임]이 ‘바위의 선행 및 수복(受福)’을 채록한 한인 설화.
「선량한 바위」는 ‘바위’가 용왕의 도움으로 절세미녀를 만나 해로했다는 것을 설명하는 민담(民譚)이다. 어린 나이에 부모를 여의고 힘겹게 살아가다 우연한 계기로 잉어를 살려주고, 그 보답으로 부(富)는 물론 절세미녀를 얻어 현실의 위기를 극복하며 해로한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정길운[남, 1919~1991년, 충청북도 영동군 출생, 1943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 중국 민간 문예가 협회 연변 분회 주석 역임]이 황정익에게서 채록한 자료로 한인[조선족]의 첫 구비 설화집인 『천지의 맑은 물』(1962, 연변인민출판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7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정길운·김례삼 채록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7)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옛날, 세 살에 어미 잃고 열 살에 아비 잃은 ‘바위’라는 아이가 있었다. 바위는 남의 집에서 더부살이를 하며 종일토록 땔감을 구했다. 그러나 주인은 겨우 밥 한 술만 주었다. 바위는 배불리 먹을 수 있는 곳을 찾았다. 그러던 중 웬 도령들이 강가에서 잉어를 낚아 죽이려 하는 것을 보았다. 바위는 잉어가 안쓰러워 세 푼으로 잉어를 사 강에 놓아주었다.
얼마 후 강가에서 별주부가 나와, ‘은혜를 베풀어 준 잉어는 용왕의 셋째 공주로 은혜에 보답코자 용왕이 뵙기를 청한다’고 했다. 바위는 별주부를 따라 용궁으로 들어갔다. 셋째 공주가 몰래 바위에게 이르기를, ‘아버지께서 받고 싶은 선물이 있느냐 물어보시거든 첫 대문에 걸린 나무 그릇을 달라’고 하라 귀뜸했다. 바위는 시키는 대로 나무 그릇을 받아 돌아왔다. 그런데 그릇에서 끼니때마다 진수성찬이 나왔다.
얼마 후에는 절세미녀까지 나와 혼례를 치렀다. 몇 해 후, 고을 사또가 새로 부임했다. 사또는 바위의 처가 절세미녀임을 알고 빼앗으려 바위를 불렀다. 그리고는 내일까지 벼룩 세 섬과 빈대 세 섬을 잡아오라 했다. 집으로 돌아온 바위가 어찌할 바를 몰라 하자, 바위의 색시는 도술을 부려 병에 벼룩과 빈대를 가득 모아 주었다. 이튿날, 바위가 사또에게 벼룩과 빈대를 내어주자 벼룩과 빈대가 사또의 몸에 붙어 피를 빨았다. 결국 사또는 죽고 말았다.
「선량한 바위」의 모티브는 ‘바위의 잉어 구명과 용왕의 보답’ 및 ‘바위 아내의 도술과 신관사또 응징’이다. 선한 바위가 잉어를 구명한 대가로 용왕으로부터 아내를 얻는다. 그리고 아내는 도술을 부려 신관사또를 응징한다. 권선징악(勸善懲惡)과 인과응보(因果應報)를 주제로 설정하고 있는 민담의 이야기 구조를 온전히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인 설화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관리와 백성, 지주와 소작인, 착한 자와 악한 자 등의 대립 구조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