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천골」(2)

한자 龍泉골(2)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초동|선녀
모티프유형 맑은 샘의 발견과 풍농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년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정의

정길운[중국 민간 문예가 협회 연변 분회 주석 역임]이 ‘용정시 용천골[곡골]의 지명 유래’를 채록한 한인 설화.

개설

「용천골」은 용정시 용천골(龍泉谷: 穀谷)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초동이 땅에서 샘솟는 샘물을 발견하고 그 터에 정착하여 비옥한 땅을 일구었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정길운[남, 1919~1991년, 충청북도 영동군 출생, 1943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 중국 민간 문예가 협회 연변 분회 주석 역임]이 유병을에게서 채록한 자료로 한인[조선족]의 첫 구비설화집인 『천지의 맑은 물』(1962, 연변인민출판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7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정길운·김례삼 채록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7)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용정에서 동남쪽으로 50여 리 올라가면 땅속에서 용솟음치는 맑은 샘이 있다. 하지만 인근에 마을이 없었다. 어느 날, 한 초동이 터를 찾아 헤매다가 이곳에 당도했다. 샘물 맛이 좋은 것은 물론이거니와 질병을 치유하는 생명수(生命水)인 듯했다. 초동은 이곳이야말로 생명의 땅임을 직감하고, 짊을 푼 후 기쁜 마음에 퉁소를 불었다. 얼마나 불었을까, 한 선녀가 퉁소 소리에 매료되어 초동에게 다가왔다. 두 사람은 한데 어우러졌다. 그리고 가정을 이루었다.

초동은 ‘맑은 샘물이 땅속에서 용솟음치는 땅’이라는 의미에서 일대를 “용천골(龍泉谷)”이라고 불렀다. 이후 용천골의 감자는 천하제일로 알려졌으며, 이외 갖은 곡식도 풍성하게 열렸다. 이에 주변 사람들은 용천골을 달리 ‘갖은 곡식이 풍성하다’는 의미에서 “곡굴(穀谷)”이라고도 불렀다.

모티프 분석

「용천골」의 모티브는 ‘맑은 샘의 발견과 풍농’이다. 어느 민족이 그렇지 않겠는가만, 특히 한인들은 샘물을 끌어들여 밭을 일궜고, 강물을 끌어대어 논을 일궜다. 뿐만 아니라 특정한 물을 생명수(生命水) 또는 약수(藥水)로 상정하여 신성시했다. 이 작품에서도 어느 초동과 선녀가 생명수를 빌미로 조우하여 새로운 터전을 닦는다. 특히 선녀가 생명수로 내려왔다는 것을 통해 그 자연의 승경과 그 물의 생명력을 은연중에 강조하고 있다.

참고문헌
  • 『정길운·김례삼 채록 민담집』(연변대학 조선문학연구소, 2007)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황구연 민담집』보고사, 2007
  • 정길운, 『천지의 맑은 물』(연변인민출판사, 196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