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天水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동해 용왕|고래 정승|선관|선녀|신선 |
| 모티프유형 | 백두산 천지의 발원과 송화강, 두만강, 압록강의 형성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7년 |
| 관련 지명 | 북한양강도 삼지연군백두산 |
정길운[남, 1919~1991년, 충청북도 영동군 출생, 1943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 중국 민간 문예가 협회 연변 분회 주석 역임]이 채록한 자료로 한인[조선족]의 첫 구비 설화집인 『천지의 맑은 물』(1962, 연변인민출판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7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정길운·김례삼 채록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7)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태고 적에 천지(天池)의 물이 동해로 흘러갔다. 물빛이 어찌나 찬란한지, 동해용왕은 고래정승을 불러 ‘물의 출처를 확인하라’고 명했다. 고래 정승은 문무백관과 함께 천지가 백두산 정상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확인하고 동해 용왕에게 고했다. 이에 동해 용왕은 물론 수궁의 선관·선녀, 천상의 신선까지 천지 구경을 나왔다.
백두산이 높아 길짐승은 볼 수 없고 날짐승만 나는데, 오색영롱한 지초들과 어울려 한 폭의 그림을 자아냈다. 선관, 선녀, 신선들은 천지의 물을 한 모금씩 마신 후 동쪽, 서쪽, 북쪽으로 물길을 내었다. 이로써 송화강, 두만강, 압록강이 만들어졌다.
「천수」의 모티브는 ‘백두산 천지의 발원과 송화강, 두만강, 압록강의 형성’이다. 두루 아는 것처럼, 백두산의 천지는 남쪽으로 압록강, 동쪽으로 두만강, 북쪽으로 송화강을 끝없이 흐르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 동해 용왕은 물론 수궁의 선관, 선녀, 천상의 신선에 이르기까지 천지의 물빛에 매료되어 압록강, 두만강, 송화강의 물길을 내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전통적인 관념에서 수궁계나 천상계는 신들이 거주하고 있는 공간으로 그곳은 진·선·미가 고루 갖추어져 있다. 그런데 그러한 공간에 거주하는 신들이 오히려 지상계의 산수, 즉 백두산 천지를 탐하고 있다. 그만큼 천지가 빼어나다는 것을 표출한 것이며, 나아가 신들이 물길을 낸 압록강, 두만강, 송화강도 성스럽다는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