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루와 돌쇠」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돌쇠|노루|구렁이|포수
모티프유형 돌쇠의 노루 구명과 노루의 보은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북한양강도 삼지연군
정의

차병걸[조선족 민담구연예술가]이 ‘노루의 보은’을 구연한 한인 설화.

개설

「노루와 돌쇠」는 돌쇠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 노루가 돌쇠를 구명(求命)한다는 동물 보은 전설(動物報恩傳說)이다. 돌쇠가 구렁이로부터 쫓기다 다리를 다친 노루를 치료하자, 노루가 구렁이로부터 독기를 마신 돌쇠를 위해 신비한 약초를 물어다준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차병걸[남, 1925년 평안남도 순천군 신창면 출생, 1939년 흑룡강성으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가 1985년부터 구연한 420여 편의 설화 중 120편을 선정하여 2010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차병걸 민담집』(연세대학교 국학총서 73, 중국조선민족문학대계 26)으로 발간했다. 이 자료집에 본편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백두산 기슭에 혈혈단신의 나무꾼 ‘돌쇠’가 살았다. 어느 날, 돌쇠가 나무를 하는데 허리가 대여섯 발이나 되는 구렁이 두 마리가 돌쇠를 잡아먹으려 입을 벌리고 달려들었다. 돌쇠는 낫과 도끼로 그 중 한 마리를 죽였다. 그러자 나머지 한 마리가 숲속으로 사라졌다. 몇 해 후, 돌쇠가 나무를 하는데 노루 한 마리가 뛰어와 ‘구렁이로부터 자신을 구해달라’고 했다. 돌쇠가 보니 큰 구렁이가 노루를 쫓다가 자신을 보고 달아나는 것이었다. 돌쇠는 노루의 뒷다리를 치료해주었다.

그 날 밤, 돌쇠의 집에 구렁이가 들었다. 그러면서 ‘몇 해 전에 나의 아내가 너의 손에 죽었으니, 오늘밤 너를 처단하겠다’고 했다. 돌쇠는 아득하여 안방 뒤주 속에 몸을 숨겼다. 구렁이는 뒤주의 뚜껑을 입으로 열려 했으나 쉽지 않았다. 몸으로 뒤주를 감싸 부서뜨리려 했으나 그마저도 쉽지 않았다.

이에 구렁이가 뒤주 속으로 독기를 뿜었다. 돌쇠는 서서히 정신을 잃었다. 이때 돌쇠집에 우연히 들른 포수가 구렁이를 쏴 죽였다. 그러나 돌쇠는 구렁이의 독으로 숨이 넘어가고 있었다. 이때 노루가 어느 풀을 물고 왔다. 포수는 그 풀을 달여 돌쇠를 먹였다. 그랬더니 독기가 금방 가라앉았다. 이후 돌쇠는 백두산의 풀로 많은 사람들의 병을 고쳐주며 살았다.

모티프 분석

「노루와 돌쇠」의 모티브는 ‘돌쇠의 노루 구명과 노루의 보은’이다. 돌쇠가 구렁이의 화로부터 노루를 구하자, 그 보답으로 노루는 돌쇠에게 신기한 풀을 전달한다. 이로써 돌쇠는 물론 많은 사람들의 질병이 치료될 수 있었다. 인간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 동물이 다시 보은하는 유형의 전설들이 한국이든 중국이든 한민족 사회에 광포하고 있는데, 「노루와 돌쇠」도 이러한 동물 보은형(動物報恩形) 설화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차병걸 민담집』보고사, 2010
  • 차병걸, 『팔선녀』(연변인민출판사, 198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