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심쟁이의 끝장」

한자 욕심쟁이의 끝장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세 친구
모티프유형 한 친구의 과욕과 죽음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북한양강도 삼지연군
정의

차병걸[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욕심은 화를 부르는 법’이라는 것을 구연한 한인 설화.

개설

「욕심쟁이의 끝장」은 욕심 많은 심마니가 인삼을 무작위로 먹다가 끝내 숨을 거두었다는 것을 설명하는 민담(民譚)이다. 세 친구가 백두산의 인삼을 캐고 내려오다가, 한 친구가 인삼을 독차지할 욕심으로 나머지 친구들을 죽이고 자신도 오히려 인삼으로 인해 죽는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차병걸[남, 1925년 평안남도 순천군 신창면 출생, 1939년 흑룡강성으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가 1985년부터 구연한 420여 편의 설화 중 120편을 선정하여 2010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차병걸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6)으로 발간했다. 이 자료집에 본편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함경북도 어느 고을에 죽마고우 세 친구가 살았다. 세 친구는 인삼을 캐기 위해 행장을 꾸려 백두산 정상으로 향했다. 그리고 3일 만에 굵직굵직한 인삼을 한가득 캐어 산을 내려왔다. 백두산 중턱에서 세 친구는 끼니를 챙기려 잠시 쉬었다. 두 친구는 밥과 찬을 챙겼고, 한 친구는 이리저리 다니며 삭정이를 구했다.

그때 밥과 찬을 챙기던 힘이 센 친구가 힘이 약한 친구에게 삭정이를 구하러 나간 친구를 죽이고 함께 인삼을 나누어갖자고 했다. 힘이 약한 친구는 선뜻 동의했다. 그리고 한 친구가 삭정이를 구해오자 힘이 센 친구가 낭떠러지로 밀어 떨어뜨렸다. 그런데 힘이 약한 친구가 느닷없이 힘이 센 친구도 밀어 떨어뜨렸다. 힘이 약한 친구는 혼자 밥을 챙겨 먹고, 인삼 보따리를 짊어졌다. 그러나 인삼 보따리를 감당할 수 없었다.

힘이 약한 친구는 인삼을 먹으면 힘이 날 것이라는 생각에 인삼을 계속 씹어 먹었다. 헌데 힘이 나기는커녕 정신이 몽롱해져만 갔다. 그래도 힘이 약한 친구는 인삼을 계속 씹어 먹었다. 그리고는 이윽고 숨을 거두었다.

모티프 분석

「욕심쟁이의 끝장」의 모티브는 ‘한 친구의 과욕과 죽음’이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정도가 지나친 것은 오히려 모자란 것만 못하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을 강조한 말이다.

이 작품에서, 친구들을 해쳐 인삼을 모두 가로채고 그 인삼을 과도하게 먹어 죽음을 부른 한 친구의 행위와 썩 일치하는 말이다. 한 친구의 어이없는 행동을 통해 지나친 욕심은 경계해야 한다는 교훈을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차병걸 민담집』보고사, 2010
  • 차병걸, 『팔선녀』(연변인민출판사, 198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