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智慧로 員이 되다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어느 촌놈|승지 |
| 모티프유형 | 촌놈의 지혜와 원님 제수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함경북도 |
차병걸[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지혜로 원님이 된 어느 촌놈의 내력’을 구연한 중국 한인 설화
「지혜로 원이 되다」는 죽을 처지 놓여 있던 어느 촌놈이 지혜를 발휘해 승지로부터 원님 자리를 제수 받았다는 것을 설명하는 민담(民譚)이다. 승지가 삼대독자의 병을 고치기 위해 어느 촌놈의 불알을 까려 하자, 오히려 촌놈이 승지를 위협하여 고을의 원님 자리를 제수 받는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차병걸[남, 1925년 평안남도 순천군 신창면 출생, 1939년 흑룡강성으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가 1985년부터 구연한 420여 편의 설화 중 120편을 선정하여 2010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차병걸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6)으로 발간했다. 이 자료집에 본편이 수록되어 있다.
옛날, 함경북도 산골 마을에 노부모를 모시고 사는 아들 내외가 있었다. 어느 날, 아들은 노부모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돈을 벌겠다며 서울로 향했다. 아들은 서울에 도착해 더욱 고생을 했다. 하루는 술에 취해 어느 여관집에서 묵었다. 그런데 어찌나 벼룩이 많은지 웃통을 훌훌 벗어던지고 잠이 들었다. 또 잠결에 소변을 보고 제 방으로 되돌아온다는 것이 여관집 딸아이의 방으로 들어갔다.
딸아이는 웬 남정네가 자기의 방으로 들어오니 놀라 소리쳤다. 이 소리에 하인들이 달려와 아들을 포박하고 커다란 포대에 넣었다. 하인들은 포대를 짊어지고 김승지 댁으로 향했다. 김승지 댁에는 삼대독자가 있었는데, 문둥병에 걸려 수년 간 두문불출하고 있었다. 김승지는 문둥병에 남정네의 남근이 좋다는 말을 듣고, 인근의 몇몇 하인들에게 낯선 취객을 몰래 잡아오면 천 냥을 주겠다고 했다. 하인들은 천 냥 받을 생각에 들떠 이러한 일들을 저희들끼리 이야기해댔다.
아들은 정신을 차리고 하인들이 하는 얘기를 들었다. 그리고 꾀를 짜냈다. 이윽고 김승지가 포대를 풀자, 아들이 김승지의 상투를 잡아끌며 어전으로 가자고 했다. 김승지는 일이 밖으로 누설될 것을 염려하여 아들에게 고을의 원님 자리를 내주었다. 아들은 노부모와 아내와 함께 부귀영화를 누리게 되었다.
「지혜로 원이 되다」의 모티브는 ‘촌놈의 지혜와 원님 제수’이다.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살 수 있다.”라는 비근한 속담이 있다. 위기의 상황에서도 지혜를 발휘하면 그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경계하는 말이다. 이 작품에서도 상경한 촌놈이 죽을 위기에 처하자, 오히려 지혜를 발휘하여 고을의 원님 자리를 얻는다. 유형적 인물, 유형적 사건, 유형적 주제를 특성으로 삼고 있는 민담의 전형성을 함축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