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를 장가들인 훈장」

한자 弟子를 장가들인 訓長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청년|대가집 규수|훈장
모티프유형 총각의 상사병과 훈장의 지략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평안남도
정의

차병걸[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훈장의 지기로 인연을 맺은 어느 부부의 사연’을 구연한 한인 설화.

개설

「제자를 장가들인 훈장」은 훈장이 상사병에 걸린 제자를 위해 지기를 발휘하여 혼례를 성사시켰다는 일화적(逸話的) 성격의 민담(民譚)이다. 훈장은 제자를 여장케 한 후, ‘춘향전’을 외게 하여 대갓집의 규수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일로 결국 두 사람이 사랑을 성취한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차병걸[남, 1925년 평안남도 순천군 신창면 출생, 1939년 흑룡강성으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가 1985년부터 구연한 420여 편의 설화 중 120편을 선정하여 2010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차병걸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6)으로 발간했다. 이 자료집에 본편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평안남도 한 고을에 자그마한 서당이 있었다. 서당에는 어려서부터 총명한 청년이 있었다. 어느 춘삼월에 훈장은 글공부에 지친 학생들을 데리고 들놀이를 나갔다. 한창 길을 나서는데, 청년이 한 대갓집 화원에 핀 꽃에 매료되어 담을 넘고 말았다.

대갓집에는 17세 된 규수가 있었는데, 총각이 담을 넘어오자 후원으로 들어가 버렸다. 그러나 총각은 규수의 미모에 넋을 놓고 말았다. 그 후 총각은 상사병에 걸려 식음을 전폐했다. 며칠 후 총각은 훈장을 뵙고 싶다 청했다. 훈장은 달려와 총각으로부터 사연을 전해 들었다. 훈장은 총각에게, ‘춘향전을 외라’ 이르며, 그 후 규수와 연을 맺을 방도를 알려주겠노라 했다.

총각은 며칠 만에 춘향전을 줄줄 욀 수 있게 됐다. 그 사이 훈장은 대갓집 옆에 작은 다락을 만들어 놓았다. 그리고는 총각에게 여장을 한 후 다락에 들어가 춘향전을 읽으라 했다. 어느 날, 규수의 몸종이 빨래를 하다가 다락에서 들려오는 재미있는 사랑 이야기를 넋을 놓고 들었다. 몸종은 규수에게 그 사실을 고했다. 그러자 규수는 어머니에게 다락의 여인을 자기의 방으로 초청해 함께 사랑 이야기를 듣자고 했다.

그렇게 총각은 규수의 방에 들었다. 그리고 늦은 밤까지 사랑 이야기를 외다가 규수의 어머니가 잠자리에 들자 규수와 남녀의 정분을 쌓았다. 이튿날 규수는 어머니에게 사실을 고했다. 어머니는 어쩔 수 없는 일이라며, 총각을 사위로 맞아들였다.

모티프 분석

「제자를 장가들인 훈장」의 모티브는 ‘총각의 상사병과 훈장의 지략’이다. ‘춘향전’은 출현 당시부터 지금까지 한민족이 가장 애호하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심지어 오늘날에는 연극, 오페라, 영화, 드라마의 형태로 각색되어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

이 작품에서도 상사병에 걸린 제자가 훈장의 지도를 따라 ‘춘향전’을 읽음으로써 대가집 규수와 그 어머니 마음을 얻는 데 성공하고 있다. 이 작품이 형성될 당시에도 남녀노소, 신분 여하를 막론하고 ‘춘향전’을 애호했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차병걸 민담집』보고사, 2010
  • 차병걸, 『팔선녀』(연변인민출판사, 198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