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金帝의 이야기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민담 |
|---|---|
| 주요등장인물 | 신랑|돼지 요괴|토지신|생불 |
| 모티프유형 | 돼지 요괴의 횡포|토지신과 생불의 조력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태백산 줄기 |
차병걸[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천년 묵은 돼지 요괴의 횡포와 말로’를 구연한 설화.
「금제의 이야기」는 새신랑이 토지신(土地神)과 생불(生佛)의 조력으로 새색시를 잡아간 천년 묵은 돼지 요괴를 퇴치했다는 것을 설명하는 민담(民譚)이다. 새신랑이 토지신으로부터 산삼을 건네받아 기력을 차리고, 생불로부터 부적 세 장을 건네받아 천년 묵은 돼지를 퇴치한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차병걸[남, 1925년 평안남도 순천군 신창면 출생, 1939년 흑룡강성으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가 1985년부터 구연한 420여 편의 설화 중 120편을 선정하여 2010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차병걸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6]으로 발간했다. 이 자료집에 본편이 수록되어 있다.
옛날 태백산 줄기 끝에 옹달샘이 있었다. 그리고 인근에 자그마한 마을이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모두 옹달샘을 길어다 먹었다. 그러던 어느 날, 마을 아낙들이 동이에 물을 길어 오는데 홀연히 괴물이 나타나 새 각시를 낚아채 사라졌다. 신랑은 각시를 찾아 길을 나섰다.
얼마 후, 신랑의 꿈결에 백발노인[토지신(土地神·土主神)]이 나타나 무를 건네며, "각시를 잡아간 것은 천년 묵은 돼지 요괴로 예쁜 아낙만 잡아다 시중을 들게 한다."라고 했다. 또 "서쪽으로 가면 생불(生佛)을 만날 것이다."라고 했다.
신랑이 잠에서 깨어보니 손에 산삼이 들려 있었다. 신랑은 산삼을 먹고 기운을 차려 다시 길을 나섰다. 신랑은 우여곡절 끝에 생불을 만났다. 생불은 신랑에게 부적 세 장을 건네며 그 사용법을 일러주었다. 그리고는 구름을 불러 신랑을 돼지 요괴들이 사는 섬으로 인도했다.
신랑은 그곳에서 새끼 돼지를 보살피고 있는 각시를 만났다. 두 사람은 얼싸안고 회포를 나누었다. 그러다 ‘금제(金帝·金猪)’라고 불리는 돼지 요괴의 괴수에게 붙잡혔다.
신랑은 생불이 건네준 부적 한 장을 금제의 이마에 붙였다. 그 부적에는 ‘녹피(盝㱟)[살을 찢고 피를 마르게 하다]’라는 글자가 씌어져 있었다. 그러자 금제가 순식간에 녹아 한 줌의 물이 되었다. 이어 또 다른 부적을 돼지 소굴에 던졌다. 그러자 돼지들이 모두 녹아 물이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부적을 땅에 던졌다. 그 부적에는 ‘풍우선(風羽船)[일종의 열기구]’이라는 글자가 씌어져 있었다. 그러자 수십 명을 태울 바람 풍선이 만들어졌다. 신랑은 각시와 여러 아낙들을 태우고 섬을 무사히 빠져나왔다.
「금제의 이야기」의 모티프는 ‘천년 묵은 돼지 요괴의 횡포’와 ‘토지신과 생불의 조력’이다. 한민족의 전통적인 신앙관에서 토지신은 인간과 함께 삶을 영위하며 인간을 수호하는 신격(神格)이다.
이 작품에서도 토지신이 천년 묵은 돼지를 처단할 방도를 인간에게 일러준다. 또한 생불은 인간에게 부적을 전달함으로써 천년 묵은 돼지를 처단케 한다. 부적과 주문으로써 주술행위를 펼친 밀교승(密敎僧)의 형상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을 통해 한민족이 다양한 신격을 창조하고, 그 신들에게 의탁하여 숱한 삶의 역경을 극복하고자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