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아래 첫 동네의 유래」

한자 白頭山 아래 첫 동네의 由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사냥꾼 총각|노인
모티프유형 백두산 사냥꾼들의 죽음의 원인 해결과 마을 형성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백두산 일대
정의

차병걸[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백두산 아래 첫 동네의 형성 유래’를 구연한 설화.

개설

「백두산 아래 첫 동네의 유래」는 ‘백두산 아래 첫동네’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백두산 인근에서 사냥하던 사람들이 백두산 깊숙한 곳까지 이르러 사냥을 하며 마을을 일구게 된 내력을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차병걸[남, 1925년 평안남도 순천군 신창면 출생, 1939년 흑룡강성으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가 1985년부터 구연한 420여 편의 설화 중 120편을 선정하여 2010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차병걸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6]으로 발간했다. 이 자료집에 본편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백두산 인근에 한 마을이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대부분 사냥으로 연명했다. 그러나 언제부터인지 깊은 산속으로 사냥을 떠난 사람들이 돌아오지 않았다. 사람들은 두려워 더 이상 깊은 산속으로 들어가지 않았다.

어느 날, 마을의 한 총각이 백두산으로 사냥을 나갔다가 길을 잃었다. 이때 숲속에서 사슴 한 마리가 뛰어 나왔다. 총각은 활을 겨누어 사슴을 쏘아 맞췄다. 그런데 등 뒤에서 인기척이 느껴졌다. 총각은 삿갓을 벗어 허수아비를 만들고 몸을 숨겼다. 그러자 활이 날아와 허수아비를 쏘아 맞췄다. 그리고는 사슴을 들쳐 업고 유유히 떠났다.

총각은 마을 사람들을 죽인 자임을 직감했다. 그리하여 활을 당겨 그 자를 죽였다. 하지만 사람을 죽였다는 죄책감에 시신을 고이 묻고 제를 지냈다. 그러던 중 멀리서 불빛이 보였다. 총각은 불빛을 따라 발걸음을 재촉했다. 그리고 한 초가에서 노인을 만났다. 이런저런 얘기 끝에, 자신이 죽인 자가 노인의 아들이라는 것을 알았다. 총각은 노인에게 백배사죄했다.

그러나 노인은 죽을죄를 지었기 때문이라며 벌을 받은 것이라며 총각을 용서했다. 총각은 노인의 양자가 되어 노인을 봉양했다. 이후 노인의 초가 인근에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이렇게 해서 백두산 아래 첫 동네가 만들어졌다.

모티프 분석

「백두산 아래 첫 동네의 유래」의 모티프는 ‘백두산 사냥꾼들의 죽음의 원인 해결과 마을 형성’이다. 중국 동북 지역의 한인은 압록강·두만강·송화강 등에 의지해 논을 풀었는가 하면, 백두산에 의지해 약초를 캤고 사냥을 했다.

이 작품을 통해 백두산에서 사냥을 하며 삶을 영위하던 사냥꾼들의 삶이 얼마나 치열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차병걸 민담집』보고사, 2010
  • 차병걸, 『팔선녀』(차병걸, 연변인민출판사, 198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