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두령과 구룡담」

한자 九頭嶺과 九龍潭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불여우|옥황상제|천조대신|벼락 장군
모티프유형 불여우의 인간 침해|옥황상제의 불여우 응징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백두산 자락
관련 지명 백두산 자락
정의

차병걸[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구두령과 구룡담의 지명 유래’를 구연한 설화.

개설

「구두령과 구룡담」은 백두산 자락에 있는 ‘구두령(九頭嶺)[층암절벽]’과 ‘구령담(九嶺潭)[못]’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옥황상제의 명을 받은 천조대신(天照大神)과 벼락장군(雷聲將軍)이 머리 아홉 달린 천년 묵은 여우의 목을 베자, 그 목이 떨어져 구두령과 구령담이 만들어졌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차병걸[남, 1925 평안남도 순천군 신창면 출생, 1939년 흑룡강성으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가 1985년부터 구연한 420여 편의 설화 중 120편을 선정하여 2010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차병걸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6]으로 발간했다. 이 자료집에 본편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백두산 줄기를 따라 층암절벽이 솟은 구두령이 있고, 그 앞에는 구룡담이 있다. 옛날 인근에 머리 아홉 달린 천년 묵은 불여우가 살았다. 불여우는 인가에 내려와 가축이며 사람이며 가리지 않고 목숨을 앗았다.

옥황상제는 천조대신에게 명하여 불여우를 처단하라 명했다. 천조대신은 아홉 장수를 대동하고 지상으로 내려왔다. 그러나 불여우의 조화가 여간 대단한 것이 아니어서 천조대신과 아홉 장수들조차 불여우를 쉽게 처단하지 못했다.

옥황상제는 대노하여 벼락장군을 불러 천조대신과 아홉 장수를 도와 불여우를 처단하라 명했다. 불여우가 아무리 조화를 부린다지만, 벼락장군이 합세하자 더 이상 대항하지 못했다.

이윽고 아홉 장수가 불여우의 아홉 머리를 베었다. 불여우의 아홉 머리가 땅에 떨어졌는데, 그 충격으로 절벽강산과 큰 연못이 만들어졌다. 이후 사람들은 그 절벽강산을 ‘아홉 개의 머리 고개’라는 의미에서 ‘구두령(九頭嶺)’이라고 불렀으며, 그 연못을 ‘아홉 개의 머리 연못’이라는 의미에서 ‘구령담(九嶺潭)’이라고 불렀다.

모티프 분석

「구두령과 구룡담」의 모티프는 ‘머리 아홉 달린 천년 묵은 불여우의 인간 침해’와 ‘옥황상제의 불여우 응징’이다. 설화 속에서 여우는 늘 부정적인 동물로 간주되어 왔다. 특히 꼬리 아홉 달린 여우인 ‘구미호(九尾狐)’를 최고의 응징 대상으로 여겼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는 머리 아홉 달린 여우인 ‘구두호(九頭狐)’가 등장하여 인간을 괴롭히다가 옥황상제로부터 죽임을 당한다. 아홉 개의 우뚝 솟은 봉우리를 증거물로 삼아 원형적인 형태의 ‘구미호 설화’를 변이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차병걸 민담집』보고사, 2010
  • 차병걸, 『팔선녀』(연변인민출판사, 198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