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선녀」

한자 八仙女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신화
주요등장인물 아들|팔선녀|구렁이
모티프유형 아들과 선녀의 결혼과 삼태자 출산|조선족의 형성과 확대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백두산 일대
정의

차병걸[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한인[조선족]의 창성 및 칠성(七星)의 역할 부여’를 구연한 설화.

개설

「팔선녀」는 어느 효자와 선녀가 혼인하여 한인[조선족]이 생겨나고, 그 후손들이 번성하여 지금의 한인[조선족]이 되었다는 것을 설명하는 신화(神話)이다. 그리고 연장선상에서, 작품의 결미에 북두칠성(北斗七星)의 시원 및 역할 부여가 덧보태져 있다.

채록/수집 상황

차병걸[남, 1925년 평안남도 순천군 신창면 출생, 1939년 흑룡강성으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가 1985년부터 구연한 420여 편의 설화 중 120편을 선정하여 2010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차병걸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6]으로 발간했다. 이 자료집에 본편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어느 바닷가 마을에 모자가 살았다. 아들은 9척의 키에 힘이 장사였다. 어느 날, 연로한 홀어미가 몸져누웠다. 이때 어느 노인이 나타나, ‘천지 신령동의 장수버섯만이 어미의 병을 낫게 할 수 있다.’고 했다.

아들은 백두산 천지로 향했다. 그리고 천지 인근의 한 동굴에서 기이한 버섯을 찾았다. 아들이 버섯을 따려는 순간 동굴 속에서 머리 아홉 달린 큰 구렁이가 나타나, “장수버섯을 먹고 승천하기 위해 수십 년을 기다렸다.”며 물러가라 했다. 아들은 물러서지 않았다. 반나절 간 싸움을 벌였지만 승부를 내지 못했다.

그러나 아들은 이미 피투성이가 되었다. 아들은 동굴을 빠져나와 백사장에 쓰러졌다. 마침 팔선녀가 천지로 내려왔다가 아들을 발견했다. 팔선녀는 아들에게 천지의 물을 떠주었다. 아들은 정신을 차리고 팔선녀에게 자신의 사정을 얘기했다. 팔선녀는 아들과 함께 구렁이를 처단하자 했다.

그러나 팔선녀는 막내 선녀를 제외하고 모두 구렁이 밥이 되었다. 아들은 막내 선녀를 부축하고 동굴을 빠져나와 늪가에서 정신을 잃었다. 이때 어렴풋한 상태에서 어느 백발노인이 나타나 보검을 건네며 구렁이를 처단하라 했다. 아들이 정신을 차려보니 자신의 손에 보검이 쥐어져 있었다. 아들은 보검으로 구렁이를 처단하고 장수버섯으로 홀어미의 병을 낫게 했다.

막내 선녀는 옥황상제에게 아들과 혼인을 허락해줄 것을 청했다. 옥황상제는 막내 선녀를 지상계로 내려 보냈다. 아들과 막내 선녀는 삼태자를 낳았다. 이후 후손들이 불어 남해, 북해, 서해, 동해 그 어느 곳에나 한인[조선족]이 살게 되었다.

한편 옥황상제는 구렁이에게 죽임을 당한 일곱 선녀를 북쪽 하늘의 칠성으로 만들었다. 칠성은 하루에 제자리를 한 번씩 도는데, 구렁이 같은 괴물이 하늘을 침범하는 것을 경계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모티프 분석

「팔선녀」의 모티프는 ‘아들과 선녀의 결혼과 삼태자 출산’ 그리고 ‘한인[조선족]의 형성과 확대’이다. 이 작품은 한인[조선족]의 시원과 형성을 설명하는 씨족신화이다.

한민족의 창세신화(創世神話)와 마찬가지로 백두산을 주요 배경으로 삼고 있으며, 인간의 위기를 신이 거들어 함께 극복하고, 또 한데 결합하여 민족의 시원이 되고 있다. 한인[조선족]이 분명 한민족이라는 사실을 신화의 배경과 구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차병걸 민담집』보고사, 2010
  • 차병걸, 『팔선녀』(연변인민출판사, 198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