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뱀處女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전설 |
|---|---|
| 주요등장인물 | 총각|뱀처녀|전갈노인 |
| 모티프유형 | 뱀처녀와 총각의 백년해로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중국 정강성과 강소성 |
김덕순[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뱀처녀와 전갈노인의 싸움’을 구연한 설화.
「뱀처녀」는 처녀로 화한 선신(善神)인 뱀이 노인으로 화한 악신(惡神) 전갈과 싸워 승리한다는 내용을 설명하는 오공대사 전설(蜈蚣大蛇傳說)이다. 뱀처녀가 총각의 응원에 힘입어 사람의 혼을 빼먹는 전갈노인을 응징한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김덕순[여, 1900~1988, 경상북도 출생, 1930년 길림성 장백현으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김덕순 고사집』[상해 문예 출판사, 1983]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10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김덕순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5]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옛날 어린 아이가 걸식을 하며 홀어미를 모시고 살았다. 그렇게 아이는 장성하여 총각이 되었다. 그리고 어느 날, 더 이상 걸식을 하며 살 수 없다고 생각하고 일을 찾아 무작정 길을 나섰다.
그러던 중 길을 잃고 헤매다가 깊은 숲속에서 초가 한 채를 발견했다. 초가에는 한 처녀가 살고 있었다. 총각은 하룻밤 유할 것을 청했다. 그러자 처녀가 끼니를 챙겨주고 이부자리를 살펴주었다.
총각이 이튿날 눈을 떠보니, 처녀는 절세미녀였으며 그 집 주위는 선경이었다. 처녀는 총각에게 당나귀 두 마리에 쌀과 돈 꾸러미를 실어주며 홀어미를 봉양하라고 했다. 그리고는 기다릴 테니 다시 오라 하며, 그때는 부부의 연을 맺자고 했다.
총각은 홀어미를 봉양하고, 다시 처녀의 집으로 향했다. 그러던 중 산속에서 한 도사가 나타나, "처녀는 사람의 혼을 빼놓는 뱀의 화신이고 하며, 오늘밤 술 석 잔을 권할 것이니, 두 잔까지는 마시고 마지막 잔은 처녀의 얼굴에 뿌려라."라고 했다.
총각이 초가에 도착하자 처녀는 술상을 차렸다. 그리고는 석 잔의 술을 권했다. 총각은 비록 처녀가 뱀의 화신일지라도, 은혜를 입은 이상 처녀를 죽일 수 없어 석 잔의 술을 모두 마셨다.
그러나 멀쩡했다. 그리하여 총각은 도사로부터 들은 이야기를 소상히 전했다. 처녀는 ‘도사는 전갈의 화신으로 인간의 혼을 빼먹는 요물’이라며 내일이 결전을 치르기로 한 날이라고 했다. 총각은 처녀를 응원했다. 이튿날 총각의 응원에 힘입어 처녀가 도사를 물리쳤다. 처녀는 총각과 결혼하여 백년해로했다.
「뱀처녀」의 모티프는 ‘뱀처녀와 총각의 백년해로’이다. 우리나라 설화에서 뱀은 대부분 부정적인 존재로 등장한다.
그러나 중국 설화에서 뱀은 절강성 항주 및 강소성 진강을 기반으로 형성·전승되던 ‘백사의 전설’이 중국 전역으로 전파된 영향 때문인지 마냥 부정적인 존재로 등장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인간을 그리는 가녀린 처녀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 작품에서도 뱀처녀가 한 청년의 사랑을 얻고, 그에 힘입어 인간을 해하는 전갈노인을 응징하고 있다. 중화권 설화의 영향을 받아 한인 사회에서 새로이 형성·전승된 설화로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