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잘하는 소소매」

한자 글 잘하는 蘇小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소동파|소매|진서유
모티프유형 소매의 문장 능력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년
관련 지명 사천성 미산시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소동파[蘇軾, 1037∼1101]에 버금가는 그의 누이동생 소매(小妹)의 문장’을 구연한 설화.

개설

「글 잘 하는 소소매」는 당송 팔대가(唐宋八大家)로 이름난 소동파만큼 그 누이동생도 뛰어난 시인이었음을 설명하는 일화(逸話) 형식의 인물전설(人物傳說)이다. ‘소동파와 그의 누이동생인 소매’, 그리고 ‘소매의 남편인 진서유’의 시작(詩作)을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황구연[남, 1909~1987,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의 두 번째 자료집인 『파경노』[민족 출판사, 1989]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7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황구연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4]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인 소동파에게는 ‘소매’라는 누이동생이 있었다. 소매는 소동파에 버금갈 정도로 글 솜씨가 좋았다. 그래서 소동파와 소매는 평소 장난처럼 시를 주고받곤 했다.

그런 소매를 두고, 집안에서도 글솜씨가 좋은 선비를 신랑으로 맞아주고자 했다. 수소문 끝에 ‘진서유’라는 선비와 혼약을 정했다. 진서유가 혼례를 치르고 초야(初夜)를 보내려 하는데, 소매가 신방의 문을 잠그고 시로써 굳게 잠긴 문을 열어보라 했다.

진서유는 어찌 해야 할지 몰랐다. 그 모습을 우연히 본 소동파가 연못에 돌을 던졌다. ‘첨벙’하는 소리에 진서유가 연못을 보니 파문을 이루며 물밑의 하늘이 열리고 있었다. 이에 "돌을 던져 물밑의 하늘을 열었도다."라는 시를 지었다. 그제서야 소매가 문을 열었다. 진서유는 처남 덕분에 화촉을 밝힐 수 있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글 잘 하는 소소매」의 모티브는 ‘소동파에 필적할 만한 소매의 문장 능력’이다. 소동파는 물론 그 누이동생인 소매, 그리고 소매의 배필이 모두 당대 최고의 문장가였음을 일화 형식으로 드러내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구비문학대계: 설화편』(한국학중앙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황구연, 『천생배필』(연변인민출판사, 1986)
  • 황구연, 『파경노』(민족 출판사, 198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