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석편과 용녀」

한자 驅石鞭과 龍女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신화
주요등장인물 진시황|초패왕 항우|용녀
모티프유형 만리장성 축조|진나라 멸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7년
정의

황구연[조선족 민담 구연 예술가]이 ‘초패왕항우(楚覇王項羽)의 출생 비밀’을 구연한 설화.

개설

「구석편과 용녀」는 초패왕항우[BC 232∼202]가 진시황(秦始皇)과 용녀(龍女) 사이에서 태어난 반신반인(半神半人)이라는 신이성을 설명하는 신화(神話)이다. 진시황이 인간 세상에 내려온 용녀를 취하고, 용녀의 구석편(驅石鞭)[돌을 다루는 채찍]으로 장성을 쌓았지만, 용녀의 아들로 인해 결국 망한다는 내용으로 전개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황구연[남, 1909~1987, 경기도 양주군 출생, 1937년 길림성 연길현(현 용정시) 이주]의 구연 작품으로 그의 두 번째 자료집인 『파경노』[민족 출판사, 1989]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2007년에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에서 『황구연 민담집』[연세 대학교 국학 총서 73, 중국 조선 민족 문학 대계 24]을 발간했는데, 이 자료집에도 동일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진시황이 부역(賦役)을 통해 만리장성을 쌓을 때 일이다. 민부들이 장성을 쌓을 주춧돌을 찾다가 크고 둥근 바위를 발견했다. 민부들은 일제히 달려들어 그 바위를 쪼았다. 그런데 그 바위 속에서 절세미녀가 손에 무엇인지 들고 앉아 있었다.

이 소식을 접한 진시황이 절세미녀를 첩으로 들이려고 현장으로 나갔다. 그런데 절세미녀는 진시황의 물음에 어떤 답도 하지 않을뿐더러 미동도 없었다. 장사 여러 명이 몸을 잡아 끌어도 움직이지 않았다. 진시황은 절세미녀를 움직이게 하는 자에게 후한 상을 내리겠노라고 만방에 알렸다.

얼마 후 한 노인이 나타나, ‘절세 미녀에게 3달 간 젖을 먹이면 말을 하고 움직일 것’이라고 했다. 진시황은 유모들에게 그렇게 하라고 명했다. 그랬더니 절세미녀가 말을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스스로 입궁하여 진시황을 알현했다.

절세미녀의 사연인즉슨, ‘자신은 용왕의 딸로 득죄하여 바위 속에 갇혀 있었으며, 손에 든 것은 돌채찍으로 어떤 돌이든 몰고 다닐 수 있는 신물(神物)이다.’고 했다. 진시황은 절세미녀를 첩으로 삼고, 돌채찍으로 하루에 천 리나 되는 장성을 쌓았다. 장성이 만 리가 되어갈 쯤, 절세미녀는 속죄하여 용궁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바닷가에 이르렀을 때, 자신의 몸에 태기가 있음을 알았다. 절세미녀는 용왕에게 태아가 살 수 있기를 간절히 빌었다. 그러자 절세미녀의 몸에서 아이가 태어났다. 절세미녀는 아이를 풀로 감싸놓고 용궁으로 들어갔다. 이후 아이는 성장하여 진나라를 멸했다. 그가 바로 ‘초패왕항우’이다.

모티프 분석

「구석편과 용녀」의 모티브는 ‘진시황의 만리장성 축조’와 ‘초패왕항우에 의한 진나라 멸망’이다. 진시황은 북방 흉노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만리장성을 축조했다. 오늘날 현대 건축술로도 이행하기 어려운 대공사를 완성한 것으로, 이 작품에서는 진시황이 용녀의 구석편[돌을 다루는 채찍]을 얻어 만리장성을 단시일에 축조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만리장성의 축조 과정에 따른 백성들의 폐해와 원망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초패왕을 진시황과 용녀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로 설명하고 있는데 진시황을 자신의 아들에 의해 몰락하는 인물로 상정한 것이다. 인과응보를 주요 주제로 삼는 설화의 속성을 반영한 것이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문학 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황구연, 『천생 배필』(연변인민출판사, 1986)
  • 황구연, 『파경노』(민족 출판사, 1989)
이전 TOP